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칼 융의 페르소나와 아니마 아니무스

마음철학

by 라브뤼예르 2023. 5. 31. 22:34

본문

반응형

칼 융의 페르소나와 아니마 아니무스

우리는 누구나 인격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우리가 딱 하나의 인격을 가지고 있을까? 밖으로 보여지는 우리 인격이 있고 내면에 가려진 인격이 있을 것이다. 심리학자 칼 융은 밖으로 보이는 우리 인격만 해도 한 사람이 천 개를 가지고 있다 했다. 즉 그는 밖으로 보여지는 우리 인격이 페르소나, 안에 지니고 있는 인격이 남자의 경우 아니마 여자의 경우 아니무스라고 했는데, 그저 남성안의 여성성, 여성안의 남성성이라고만 막연히 알고 있던 아니마 아니무스의 개념을 페르소나와 함께 확실히 알아보자.

 

마음심리학
페르소나- 가면

 

페르소나

페르소나(Persona)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던 사람은 스위스의 정신의학자로 분석심리학의 개척자인 칼 융 (Carl Jung)이다. 융은 분석심리학에서 인물의 외적인 역할이나 사회적인 자아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페르소나"라는 용어를 도입했다. 페르소나는 라틴어로 "가면"을 의미하며, 개인이 사회적으로 인식되고 표출하는 외부적인 모습이나 역할을 나타낸다.
융은 인물이 다양한 역할과 상황, 맥락에서 각기 다른 페르소나를 채택하며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이 각기 다른 페르소나로 자신을 표출한다고 믿었다. 이러한 페르소나는 개인이 사회에로부터의 기대와 사회가 요구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자신의 정체성과 개인적인 무의식과 상호작용하는 중요한 요소로 간주되었다.

즉 페르소나는 개인이 사회적 요구에 적응할 수 있게 해 주는 매개체의 역할을 하며 융의 대표적 심리학 이론인 분석심리학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취급된다.  개인의 사회적 행동과 역할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개인과 사회간의 관계를 탐구하는 데에 사용된다.

 

아니마 & 아니무스

아니마(Anima)와 아니무스(Animus)도 칼 융의 정신분석학 이론에서 사용되는 개념이다. 칼 융은 프로이트처럼 무의식의 세계를 강조했는데 정확히 말하면 이 무의식의 세계안에 있는 남성의 인격에 있어 여성적인 측면을 아니마, 무의식 세계안에 있는 여성의 인격에 있어 남선적인 측면을 아니무스라고 한다.
즉  아니마는 여성적인 상징으로 감성, 직관, 창조성, 상상력과 같은 여성적인 특성이며 남성도 무의식 안에 이것을 지니고 있다. 융은 정확히 남성이 여성들이 있는 곳에 가기 위한 준비로 아니마를 지닌다고 했다. 그러니까 남성이 여성과 균형을 이루고자 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남성이 아니마를 무의식적으로 부정하거나 긍정하지 않으면 갈등과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니무스는 여성의 무의식적인 남성성을 나타내는 개념이다. 여성의 내면에 존재하는 남성적인 상징이며, 분석적 사고, 결단력, 목표지향성과 같은 남성적인 특성을 대표한다. 마찬가지로, 여성은 남성들이 있는 곳에 가기 위한 준비로 아니마를 지닌다.

 

칼 융의 분석 심리학에서의 페르소나, 아니마 & 아니무스

분석심리학은 융이 창안한 심리학 이론이다. 분석심리학은 인간의 정신을 의식, 개인무의식, 집단무의식으로 구분하고, 개인의 성격과 행동은 이 세 영역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된다고 주장한다. 분석심리학은 개인의 무의식을 탐구하고, 무의식의 내용을 의식화하여 개인의 성격 형성과 심리적 발달을 돕는 데 중점을 둔다. 융은 이 분석심리학에서 이러한 페르소나, 아니마, 아니무스 개념들을 사용하여 개인의 내면 세계와 외부 세계 간의 조화, 자아의 외적인 측면과 내적인 측면 사이의 관계, 그리고 성별 정체성과 관계 형성을 이해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개인은 자기 자신을 더욱 깊이 이해하고 성장할 수 있으며, 정신적인 균형과 조화를 찾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

 

우리가 어떤 모습으로 어떤 상황에서 행동하고 관계를 맺는지 내 여러 페르소나 중 어떤 페르소나가 지금 작용하고 있는지 내 아니마와 아니무스가 이성 앞에서 어떻게 발현되고 투영되는지 곰곰히 생각해보는 것도 재밌는 경험이 될 것이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