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예민함과 완벽주의

마음심리학

by 라브뤼예르 2023. 9. 14. 23:21

본문

반응형

예민함과 완벽주의

 

우리는 어떤 때에 좀 더 예민헤지거나 날카로워지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타고나길 좀 예민한 사람도 분명 있는 것 같다. 예민함은 또 완벽주의와 같이 가는 경우가 많은데 자신이 이 둘의 성향을 다 가지고 있다는 것을 모르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다. 괴로움이 있으면 그 괴로움의 원인을 알아야 하듯 우리의 일상생활과 심리적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이 중요한 두 주제를 이해하고 자신에게 이런 성향이 있다는 것만 알아도 문제의 50%는 해결하고 들어가는 것이다. 이 두 성향은 불안, 스트레스, 자아존중감의 저하 등과 관련이 있으므로 정신과 마음 수양에서는 이 두가지를 치료하는 것이 급선무임을 알고 오늘은 이 둘에 대해 생각해보자.

 

마음 심리학
완벽주의를 고치세요

 

예민함 (Sensitivity)

예민함은 개인이 외부 자극, 감정, 사건 등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이는 자신의 감정을 다른 사람들과 비교하거나, 작은 문제에도 큰 반응을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예민한 사람들은 종종 사회적 상황에서 긴장하고 불안을 느끼며, 다른 사람들의 평가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

 

예민함의 영향

  • 스트레스 증가: 예민한 사람들은 자주 스트레스를 경험하며, 이로 인해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 관계 문제: 예민함은 가족, 친구, 동료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오해와 갈등을 야기할 수 있다.
  • 자아존중감 하락: 자주 다른 사람들의 의견이나 평가에 민감하게 반응하다 보면 자아존중감이 떨어질 수 있다.

완벽주의 (Perfectionism)

완벽주의는 일을 끝마치기 위해 과도한 완벽을 추구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완벽주의자는 자신에게 높은 기준을 설정하고, 그러한 기준을 달성하지 못하면 자신을 비난하고 불안을 느낄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성취적이지만 동시에 스트레스와 강박을 유발할 수 있다.

 

완벽주의의 영향

  • 스트레스와 불안: 완벽주의자는 자주 스트레스와 불안을 경험하며, 작업이나 일상에서 일어나는 사건 사안에 대한 과도한 압박을 자신에게 가한다.
  • 시간 낭비: 너무 완벽을 추구하다 보면 일을 마치는 데 많은 시간을 낭비할 수 있으며, 효율성을 저해할 수 있다.
  • 사회적 고립: 완벽주의자는 자신의 기준을 다른 사람에게도 적용하기 쉽기 때문에, 친하거나 좋아하는 주위 사람들이 기준에 못미치는 것에 대해 괴로워하기도 하면 또 심하면 사회적 관계에서 고립될 수 있다.

대처 방법

  • 자기인식: 자신이 예민함이나 완벽주의 성향이 있고 어떤 때는 심하게 이것에 빠진다는 것을 먼저 인식하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 이것을 인식했으면 이러한 특성에 대해 공부해보고 이해한다.
  • 스트레스 관리: 스트레스가 심해지면 이런 성향은 더 강해지고 또 이런 성향은 스트레스를 불러오니 악순환을 반복하게 된다. 꾸준한 스트레스 관리 기술을 배우고 실천해야 하겠다. 명상, 요가, 규칙적인 운동이 도움이 될 수 있다.
  • 목표 설정과 관리: 완벽주의자는 목표를 설정할 때 현실적이고 유연한 기준을 정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 자기용납과 자기애 강화: 자기용납과 자기애를 키우는 연습을 통해 자신을 더 긍정적으로 바라본다.
  • 전문가 상담: 예민함과 완벽주의가 일상생활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면, 정신건강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다.

예민함과 완벽주의는 모두 인간의 심리적 특성 하나이며, 좋은 점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정신적으로 힘든 상황에서는 매우 문제가 되며 그렇다고 완전히 없앨  있 것도 아니다. 먼저 이것이 무엇인지 자신이 이것을 얼마나 가지고 있는지를 알고난 후 이러한 특성을 관리하고 극복함으로써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있을 것 같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