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비합리적 신념에서 벗어나 우울과 불안 극복하기

마음심리학

by 라브뤼예르 2023. 9. 25. 21:32

본문

반응형

비합리적 신념에서 벗어나 우울과 불안 극복하기

정신건강은 정말 중요하다. 우리가 비합리적인 신념과 사고 패턴 때문에 정신장애에 시달릴 수 있다고 생각해본 적이 있는가? 누구보다 똑똑한 당신이지만 합리적인 당신이지만 그런 당신도 비합리적인, 너무나도 말도 안되는, 그런 신념에 사로잡혀있다는 사실을 생각해본 적, 의심해 본 적 있는지... 비합리적인 신념을 이해하고 극복하는 것은 우리가 불안과 우울로 많이 점철된 시간들과  우리의 정신건강을 개선하고 더 풍요로운 삶을 살 수 있는 첫걸음일 수 있다. 오늘은 비합리적인 신념과 정신장애에 대해 알아보고, 그것들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들을 탐구해 보겠다.

 

마음 심리학
비합리에서 벗어나자

비합리적 신념은 무엇인가?

비합리적 신념은 현실과 일치하지 않거나 부정확한 신념으로 허상이거나 말도 안되는 망상이기도 하다. 이러한 신념은 우리의 생각, 감정 및 행동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비합리적인 신념에는 다음과 같은 유형이 있다.

 

과장된 책임감: 자신의 행동에 대해 지나치게 책임을 지는 신념이다. 이러한 신념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자신의 실수에 대해 극도로 부정적인 감정을 느끼고, 우울증이나 불안장애를 겪을 가능성이 높다.

완벽주의: 모든 일을 완벽하게 해야 한다는 신념이다. 이러한 신념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실수를 두려워하고, 실수를 할 경우 자신의 가치를 부정하게 된다.

부정적인 자기평가: 자신에 대해 부정적인 평가를 하는 신념이다. 이러한 신념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자신을 사랑하지 못하고, 자신감이 낮아진다.

불안정한 관계에 대한 의존: 타인과의 관계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신념이다. 이러한 신념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타인 없이는 행복할 수 없다고 믿고, 타인에 대한 집착과 질투심을 느낀다.

무가치감자신의 존재가 가치 없고 세상 모든 일이 무의미하며 가치없다는 신념이다. 이러한 신념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삶의 의미를 찾지 못하고, 삶의 의욕을 잃게 된다.

과도한 일반화: 어떤 일에서 실패를 하거나 부정적 감정이 들면 그 비슷한 모든 것은 마찬가지 결과일 거라고 망상적으로 해석하는 신념이다. 

 

이러한 비합리적인 신념은 우울증, 불안장애, 트라우마 후 스트레스 장애 등 다양한 정신장애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비합리적 신념을 극복하는 방법

  • 인지 행동 치료(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 CBT는 비합리적인 신념을 식별하고, 그것들을 논리적이고 긍정적인 방식으로 재평가하도록 돕는다. 이는 신념과 감정, 행동 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 심리 교육: 자신의 비합리적인 신념을 이해하고 극복하기 위해 심리 교육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것은 전문가의 도움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자신의 마음과 감정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 긍정적 자기 대화: 비합리적인 신념 대신 긍정적인 자기 대화를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신에게 긍정적으로 말하는 것은 자신감을 향상시키고 정신적인 안녕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일기를 쓰거나 끊임없이 자신의 사고를 붇고 따지고 고치려 노력해야 한다.
  • 스트레스 관리와 명상: 스트레스와 불안은 비합리적인 신념을 강화할 수 있다. 스트레스를 받고 잇있는 바쁘거나 힘든 상황에선 불합리한 생각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더 불합리해지며 심지어 그 불합리함이 합리적이라고 단정하기에 이를 수 있다. 명상 및 스트레스 관리 기술을 배워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비합리적인 신념을 완화시키는 것이 필수이다.
  • 사회적 지원: 가족, 친구, 전문가와의 열린 대화와 지원은 비합리적인 신념을 극복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결론

비합리적인 신념은 정신장애의 원인 하나일 있으며, 이러한 신념을 극복하는 것은 정신건강을 개선하고 풍요로운 삶을 있는 관건이다. CBT, 심리 교육, 긍정적 자기 대화, 스트레스 관리, 사회적 지원과 같은 다양한 접근법을 활용하여 비합리적인 신념을 극복하고, 건강하고 긍정적인 마음을 가질 있도록 노력하자.

반응형

'마음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로토닌과 불안  (0) 2023.10.22
자기결정성 이론  (2) 2023.10.04
장기적 시각 - 우울 극복  (2) 2023.09.24
예민함과 완벽주의  (0) 2023.09.14
매력적인 사람의 조건 1 - 자신감  (1) 2023.09.04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