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무하다는 단어는 '아무것도 없이 텅 빈 상태이다.' '무가치하고 무의미하게 느껴져 매우 허전하고 쓸쓸하다.'
'헛되거나 보잘것없다.'라는 사전적 의미를 갖는다. 그래서 우리는 니체라는 위대한 철학자가 허무주의를 주장했다하여 잘 알지 못한 채 부정적 혹은 염세적 시각을 던지는 경향이 있는데 사실 니체는 완전 그 반대이다. 긍정의 대가라고나 할까. 사람들이 니체를 그토록 사랑하는 것도 다 그가 긍정의 철학자이기 때문인 것이다. 그렇다면 니체가 말하는 허무주의는 과연 무엇일까. 오늘은 니체철학에서의 허무주의에 대해 알아본다.
니체의 허무주의는 다른 철학적 전통과 대조되며, 그 중심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아이디어와 개념이 있다.
허무주의는 현대 철학, 문학 및 예술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포스트모더니즘과 연관이 있다. 니체의 철학은 복잡하고 다의성이 높기 때문에 해석과 해석의 논란이 많이 있다. 그러나 허무주의는 인간의 존재, 도덕, 가치, 사회, 정치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독창적인 관점을 제시하며, 그의 작품은 여전히 철학적 토론과 연구의 대상으로 남아 있다.
근원적 허무주의는 절대적 진리와 가치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을 인식하는 데서 시작된다. 니체는 기독교, 도덕, 이성 등 기존의 가치 체계가 허구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러한 가치 체계가 인간의 삶에 의미와 목적을 부여해주었지만, 이제는 더 이상 그 역할을 수행할 수 없다고 보았다.
능동적 허무주의는 근원적 허무주의에 대한 대응으로 나타난다. 니체는 인간은 자신의 삶에 스스로 의미를 부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기존의 가치 체계가 무너진 상황에서, 인간은 자신의 삶을 창조적으로 살아가야 한다고 보았다.
그러므로 니체의 허무주의는 다음과 같은 삶의 태도를 제시한다.
니체는 인간은 자신의 삶에 스스로 의미를 부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우리는 기존의 가치 체계에 얽매이지 말고, 자신의 가치를 스스로 재평가해야 한다. 또한, 우리는 자신의 삶에 대한 책임을 지고, 자신의 삶을 스스로 만들어 가야 한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창의적인 삶을 추구하며, 새로운 가치를 창조해야 한다. 즉 허무주의의 부정성을 긍정성으로 바꾸는 것이 인간이다.
니체의 허무주의는 현대 사회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현대 사회는 급변하고 복잡해지면서, 기존의 가치 체계가 더 이상 그 역할을 수행하기 어렵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니체의 허무주의는 인간이 자신의 삶을 스스로 의미 있게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니체의 긍정성을 알아도 그것을 실천하고 생활에 도입하기는 힘들다. 도처에 자본의 논리에 의해 허무주의가 왜곡되게 깔려있는 세상.
이러한 근원적인 허무주의가 우리 사회에 그늘을 드리우며 해결책이 멀어보이게만 한다. 그러나 그러한 허무주의의 근원이 바로 빛처럼 다가오는 자유와 창의의 의지임을 알고 인간의 긍정의 힘을 믿는다면 우리는 니체의 능동적 허무주의를 통해 세상을 가치있게 살아가는 방법을 스스로 터득하게 될 것임을 믿는다.
진정한 자유 - 장자의 '대붕' (2) | 2023.10.21 |
---|---|
자본주의와 욕망 (1) | 2023.10.20 |
스피노자의 에티카 (2) | 2023.10.15 |
끊기 어려운 집착: 시각의 한계를 넘어 (4) | 2023.10.14 |
카르페디엠: 순간을 즐기는 철학 (2) | 2023.10.12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