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자본주의와 욕망

마음철학

by 라브뤼예르 2023. 10. 20. 22:35

본문

반응형

자본주의와 욕망

자본주의는 우리 삶의 모든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강력한 사회경제적 체제이다. 그러나 현대 우리 사회의 자본주의는 한마디로 돈의 욕망이 모든 것을 결정하는 인간들과 삶을 낳았다. 작금의 대한민국 정치는 특히 유튜브를 중심으로 진보건 보수건 간에 자본주의를 통해 괴이한 인간들이 양산되고 있는 것 같다. 정치도 돈이 되거나 안되거나 내 자리나 내 지위가 유지되거나 안되거나 그것이 목적이지 국민이나 시민은 없다. 자본주의와 우리의 삶, 이는 우리에게 영원한 과제일 것인데 오늘은 칼 마르크스와 자크 라캉을 통해 자본주의의 그림자에 대해 알아본다.

 

마음철학
돈돈돈의 사회

마르크스의 자본주의 비판

마르크스는 자본주의를 "상품 생산의 지배적인 체제"로 정의했다. 마르크스에 따르면, 자본주의에서 인간의 노동은 상품으로 전환되어, 자본가의 이윤 추구를 위한 수단으로 전락한다. 자본가는 노동력을 상품으로 사고팔면서, 노동자의 임금을 착취하여 이윤을 얻는다.

마르크스는 자본주의가 인간의 욕망을 왜곡한다고 비판했다. 마르크스에 따르면, 자본주의는 인간의 욕망을 물신화하여, 상품에 대한 욕망으로 환원시킨다. 

마르크스는 자본주의가 인간의 욕망을 물신화한다고 비판했다. 물신화란 물질적인 대상이 인간의 욕망을 대체하는 현상을 말한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사람들은 물질적인 소비를 통해 행복을 추구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소비는 결코 만족을 가져다주지 못한다. 오히려, 소비의 욕망은 더욱 커지게 되고, 사람들은 끝없는 소비의 쳇바퀴에 갇히게 된다.

마르크스는 이러한 현상을 다음과 같이 분석했다. 자본주의는 상품을 통해 인간의 욕망을 자극한다. 상품은 인간의 욕망을 충족시킬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인 것처럼 제시된다. 따라서 사람들은 물질적인 소비를 통해 행복을 추구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소비는 결코 만족을 가져다주지 못한다. 왜냐하면, 상품은 인간의 욕망을 영원히 충족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마르크스는 자본주의가 인간의 욕망을 착취한다고 비판했다. 자본주의는 인간의 욕망을 자극하고, 소비를 촉진함으로써 경제 성장을 이루는 데 기여한다. 그러나 자본주의는 또한 욕망을 왜곡하고, 인간의 삶을 불행하게 만드는 측면도 가지고 있다.

마르크스는 이러한 현상을 다음과 같이 분석했다. 자본주의는 인간의 욕망을 상품으로 환원시킴으로써, 인간의 욕망을 통제할 수 있게 된다. 자본가는 인간의 욕망을 자극하고, 소비를 촉진함으로써, 이윤을 창출한다. 따라서 자본주의는 인간의 욕망을 착취하는 체제라고 할 수 있다.

마르크스의 욕망에 대한 비판은 자본주의의 한계를 드러낸다. 자본주의는 인간의 욕망을 왜곡하고, 인간을 불행하게 만드는 체제라고 있다. 따라서 자본주의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욕망을 해방하고, 인간의 삶을 보다 인간답게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라캉의 타자의 욕망을 욕망하는 자본주의

자크 라캉(Jacques Lacan)의 욕망(Desire) 이론은 욕망이 복잡하게 사회, 문화, 정신적 과정, 그리고 자본주의와 연결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라캉은 특히 "타자의 욕망을 욕망한다"라는 주장을 통해 욕망과 자본주의의 관계를 탐구하고자 했다. 이 관점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타자의 욕망을 욕망한다: 라캉의 이 주장은 '타자(Other)'의 욕망이 욕망의 주체에게 영향을 미치고 상호작용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이는 다른 사람(타자)의 욕망과 인간의 개인적 욕망이 복잡하게 얽혀 있으며, 상호 의존적인 관계를 형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욕망이 사회적 관계와 상호작용의 제품으로 형성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자본주의와 욕망: 라캉은 자본주의가 욕망의 형성과 확장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다. 자본주의 경제는 소비와 생산을 촉진하고 이로 인해 욕망을 확장시킵니다. 광고, 소비 문화, 상품화된 욕망은 자본주의의 핵심이며, 개인의 욕망은 자본주의 시스템 내에서 형성된다.

타자의 욕망과 자본주의: 자본주의 시스템은 개인의 욕망을 자본 증가와 이윤 추구의 방향으로 조작하며, 다른 사람의 욕망과 경쟁적으로 관련시킨다. 이는 경쟁과 소비를 부추기며, 자본주의 시스템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라캉의 이론에서 중요한 것은 욕망은 단순한 생물학적 필요 이상으로 발전하고, 문화적, 사회적 맥락에서 형성된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자본주의와 욕망은 서로 강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자본주의 시스템은 욕망을 조작하고 확장시킨다. 관점은 욕망의 사회적, 문화적, 정신적 측면을 이해하고, 자본주의의 영향을 분석하는 중요한 틀을 제공한다.

 

 

마르크스와 라캉은 모두 자본주의가 인간의 욕망을 왜곡한다고 비판했다. 그러나 그들의 비판은 서로 다른 관점에서 이루어졌다. 마르크스는 자본주의가 인간의 욕망을 물신화하여, 인간을 착취한다고 비판했다. 라캉은 자본주의가 인간의 결핍을 상품으로 채우는 방식으로 작동하여, 인간을 욕망의 노예로 만든다고 비판했다.  사회의 모든 가치가 돈으로 연결되는 시대를 사는 우리는 자본주의의 괴물이 되지 않기 위해 항상 자신을 돌아보아야 할 것이다.

 

반응형

'마음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마와 기저핵  (1) 2023.10.22
진정한 자유 - 장자의 '대붕'  (2) 2023.10.21
허무주의 (니힐리즘)와 니체  (2) 2023.10.17
스피노자의 에티카  (2) 2023.10.15
끊기 어려운 집착: 시각의 한계를 넘어  (4) 2023.10.14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