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이란 환자를 진료하거나 의학을 연구하기 위하여 병상에 임하는 일을 말한다. 심리학에 임상이 붙으면 단순히 심리가 아니라 이미 정신적 이상 증세, 그리고 치료의 의미가 생겨나는데 이것이 임상심리학과 정신의학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부분이다. 심리학 중에서도 가장 인기가 많다는 임상 심리학, 임상 심리학이 도대체 무엇이며 임상심리학자와 정신과 의사와는 어떻게 다른지 간단히 알아보자.
임상심리학은 응용 심리학의 한 분야로서, 사람들의 정신적, 정서적, 행동적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주로 정신건강 문제, 정서적 문제, 행동 장애, 인간관계 문제 등을 다루며, 개인 또는 집단의 심리적 문제를 진단하고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
임상심리학은 과학적인 접근 방법을 통해 심리적 문제를 평가하고 이해하며, 다양한 심리적 치료 방법을 적용하여 개인의 심리적 증상과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임상심리학자들은 심리 평가 도구와 인터뷰를 사용하여 개인의 문제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인에게 적합한 치료 계획을 수립한다.
임상심리학은 다양한 이론과 접근 방법을 개발하며 또 기존의 이론을 기반으로 치료에 활용하거나 새로운 이론 개발에 적용한다 .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이론이 있다. 인지행동치료 (Cognitive-Behavioral Therapy, CBT), 인간중심접근법 (Person-Centered Approach), 정신분석학 (Psychoanalysis), 변증법 행동치료 (Dialectical Behavior Therapy, DBT), 사회학습 이론 (Social Learning Theory), 대인 관계 이론 (Interpersonal Theory), 시스템 접근법 (Systemic Approach) 등을 통해 임상심리학을 이해하고 치료방법에 접근한다.
임상심리학은 훈련을 받은 전문가인 임상심리학자들에 의해 수행되며, 정확한 진단과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 과학적인 근거와 윤리적인 원칙을 준수한다. 이 분야의 전문가들은 개인 또는 집단의 정신적 문제를 치료하고 심리적인 웰빙을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접근 방법과 치료 기법을 사용한다.
임상심리학자와 정신과 의사는 모두 정신 건강에 대한 전문가이지만,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
<교육배경>
임상심리학자는 심리학 학사 학위를 취득한 후, 임상심리학 석사 또는 박사 학위를 취득해야 한다.
정신과의사는 의학 학위를 취득한 후,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자격을 취득해야 한다.
<역할>
임상심리학자는 심리 평가, 치료, 연구,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다. 병원 정신과 또는 클리닉, 대학 및 연구기관,
사회복지 기관, 기업 및 조직, 정부기관, 군대, 상담센터 등 다양한 조직과 기관에 취업하여 일할 수 있다.
정신과의사는 정신 질환의 진단, 치료, 약물 처방, 예방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하나 오직 병원에서만 일한다.
따라서, 임상심리학자는 정신의학자보다 더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할 수 있지만, 정신과의사는 약물 처방권을 가지고 있어 보다 폭넓은 치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차이가 있다.
두 전문가 모두 정신 건강에 대한 전문가이기 때문에, 어떤 전문가를 선택해야 할지는 환자의 개인적인 상황에 따라 다르다.
===========================================================================================
정신적으로 많은 문제들을 안고 살아가는 요즘의 한구가회, 임상심리학이 인기가 있는 것도 다분 이해가 간다. 좀 더 자세한 사항은 한국임상심리학회 등을 통해 실질적 정보를 얻어보는 것도 좋다.
로미오와 줄리엣 효과 - 사회심리학 (3) | 2023.06.13 |
---|---|
사회심리학 - 솔로몬 애쉬의 동조실험 (2) | 2023.06.13 |
인지부조화와 자기합리화 (4) | 2023.06.11 |
불안과 우울 - 인지행동치료 (CBT) (4) | 2023.06.11 |
인지 심리학 - 마음과 과학 (4) | 2023.06.10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