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심리는 대충은 다 이해가 가면서도 항상 신기한 부분이 있다. 왜 하지말라면 더 하고 싶은지, 왜 하라고 하면 하기 싫은지 말이다. 가장 쉬운 예가 아이들한테 엄마가 공부하라고 하면 공부를 하려고 하다가도 하기가 딱 싫어진다는 것인데 그걸 그렇게 잘 알면서도 그리하여 공부하라고 할 때 공부 절대 하지 않는 아이들 모습을 목도하면서도 계속 공부하라고 말하는 엄마의 심리는 도대체 무언가. 참으로 헛웃음이 나오지 않을 수 없는데... 오늘은 그와 비슷한 사회심리학의 한 이론을 배워볼까 한다. 로미오와 줄리엣 효과는 부모의 반대나 주위의 방해물이 심할수록 커플인 두 남녀의 애정이 더욱더 깊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로미오와 줄리엣 효과"는 연인 관계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현상을 설명하는 사회심리학이론인데 주인공들이 금지된 사랑을 하고자 하는 욕망을 의미하는 용어이다. 이 용어는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연극 '로미오와 줄리엣'에서 비밀 연애를 하는 주인공들의 이야기에서 파생되었다. 양가 부모들이 반대하는 사랑은 더 깊어지기만 하고 불륜 남녀의 사랑은 떼어놓기가 매우 힘들다. 그렇다면 왜 이런 상황이 벌어지는 것일까.
심리학적으로 이 용어는 다음과 같은 개념들과 연관되어 이해될 수 있다.
첫째, 로미오와 줄리엣 효과는 인지부조화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인지부조화는 개인이 동시에 가지고 있는 두 가지 인지 요소가 서로 일관되지 않을 때 발생하는 불쾌한 심리 상태이다. 예를 들어, 부모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연인을 사랑하는 경우, 개인은 "부모의 말을 들어야 한다"는 인지와 "연인을 사랑한다"는 인지 사이에 부조화를 경험하게 되고 행동은 연인을 계속 만나고 사랑하는 상태를 보이는 것이다. 이러한 인지부조화 다음에 따르는 것이 자기합리화인데 이 경우 개인은 연인을 사랑하는 행동이 옳다고 생각하고 그 의 중요성을 찾고 강조하게 된다. 그 결과, 연인에 대한 애정이 더욱더 깊어질 수 있는 것이다.
둘째, 로미오와 줄리엣 효과는 반발 심리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심리적 반발이론이란 누구나 본능적으로 자연스럽게 갖고 있는 청개구리적 심리로 누군가에게 강요를 받으면 그 반대의 행동을 하게 되는 심리 상태이다. 부모가 연인을 반대하는 경우, 개인은 연인을 더 사랑하게 될 수 있다. 부모가 공부하라고 하면 자녀가 공부가 갑자기 하기 싫은 것이 바로 이 심리이다.
셋째, 로미오와 줄리엣 효과는 희소성의 법칙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사람은 희소하거나 독점적일 때 가치가 더 크고 더 신뢰하는 법칙이다. 예를 들면 독점적 상품이나 정보는 더욱 소중하고, 또 더 쉽게 믿게 된다. 사람들이 중요한 것을 놓치는 것처럼 느끼게 하는 것이다. 이용할 수 있는 것이 제한될 때 당연히 더 매력적으로 느낀다. 즉 사람들이 얻기 어려운 것에 더 큰 가치를 부여하는 심리 현상이다. 연인이 부모의 반대로 인해 만나는 것 자체가 어려울 경우, 한 번 만나기 위해서도 너무 힘들고 그렇다면 그 마나남은 더욱 소중하고 연인에 대한 애정이 더욱더 깊어질 수 있다. 이는 개인이 연인을 더 얻기 어려워서 더 큰 가치를 부여하는 심리인 것이다.
===========================================================================================
부모가 반대하는 연인이나 불륜 관계도 그러나 각 개인의 심리적인 요인과 가치관, 경험 등은 복잡하고 다양한 이유와 사연을 갖고 있기에 이런 일반화된 이론과 효과만으로 설명하긴 어렵다. 이러한 것도 있음을 알면 연인 당사자는 자신의 상태와 관계에 대해 더 객관적으로 발라보고 분명히 판단할 수 있을테니 알고나서 자신의 가치와 판단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한다.
범죄심리학 - 깨진 유리창 이론 (2) | 2023.06.13 |
---|---|
마들렌 효과 - 사회심리학 (3) | 2023.06.13 |
사회심리학 - 솔로몬 애쉬의 동조실험 (2) | 2023.06.13 |
임상심리학 - 정신의학 (4) | 2023.06.12 |
인지부조화와 자기합리화 (4) | 2023.06.11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