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사회심리학 - 솔로몬 애쉬의 동조실험

마음심리학

by 라브뤼예르 2023. 6. 13. 10:21

본문

사회심리학 - 솔로몬 애쉬의 동조실험

 

심리학은 인간 심리의 부분 부분 디테일에 신경을 쓸 것만 같지만 그러한 요소주의나 부분의 합을 통한 구성주의에 반발해 전체가 부분의 합보다 클뿐만 아니라 전체의 본질이 부분을 근본적으로 변화 시킨다는 생각도 있었다. 그것이 전체성을 지닌 통합적 구조라는 뜻의 독일어 '게슈탈트'인데 이러한 게슈탈트 심리학이 환경과 전체를 중시하던 솔로몬 애쉬라는 심리학자의 연구와 만나 사회심리학이라는 것이 탄생하게 된다. 오늘은 사회심리학의 의미와 솔로몬 애쉬라는 사회심리학의 거장이 행한 '동조실험'에 대해 배워본다. 이 동조실험은 사회심리학의 대표가 되는 유명한 심리이론이다.

 

마음심리학
군중심리

 

사회심리학이란

사회심리학은 인간의 생각과 행동이 어떻게 사회 상황과 상호작용하는지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사회심리학은 개인의 사고, 감정, 행동이 실제적이거나 혹은 상상된 타인의 존재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를 이해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즉 사회심리학은 개인, 집단, 사회, 문화 등 다양한 수준에서 인간의 행동을 연구한다. 사회와 환경적 맥락에서 인간의 인지, 태도, 집단 상호작용, 대인 관계 등을 탐구한다. 사회심리학의 주요 개념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사회인지: 사회인지는 개인이 자신과 다른 사람들을 인식하고 이해하는 능력. 인간은 사회적 상황에서 다른 사람의 행동, 태도, 신념을 인지하고 그에 대한 의미를 파악하여 상호작용한다.

태도와 태도 변화: 태도는 개인이 특정 대상, 개념, 그룹에 대한 평가적 태도나 선호도를 나타낸다. 사회심리학은 태도 형성, 유지,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연구한다.

사회적 인지 편향: 사회적 인지 편향은 개인의 판단과 결정이 왜곡될 수 있는 경향. 예를 들어, 선호도, 편견, 스테레오타입, 효과적인 전달 등이 포함된다.

집단 프로세스: 집단 프로세스는 개인이 속한 집단 내에서의 상호작용과 관련된 현상을 다룹니다. 예를 들어, 리더십, 집단 갈등, 집단적 사고, 집단 의사 결정, 동기부여 등을 연구한다.

대인 간 관계: 사회심리학은 사람들이 서로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대인 관계를 형성하는지를 연구한다. 이는 사랑, 우정, 권력 관계, 사회적 지지 등을 다룬다.

동조와 영향력: 사회심리학은 개인이 타인과 동조하고 상호작용하는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연구이다. 이는 타인의 감정, 태도, 행동에 영향을 받는 현상을 포함한다.

인지 부조화: 인지 부조화는 개인의 생각, 태도, 행동이 일관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사회심리학은 이러한 현상을 연구한다.

 

솔로몬 애쉬의 동조실험

폴란드계 미국인 솔로몬 애쉬(Solomon Asch)의 동조실험은 사회심리학에서 가장 유명하고 영향력 있는 실험 중 하나이다. 이 실험은 1950년대에 진행되었으며, 애쉬가 집단 동조에 대한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기 위해 설계했다.
동조는 개인이 주변 사회적 압력에 의해 다수의 의견과 일치하려는 경향을 가지는 현상을 의미한다. 애쉬는 동조가 인간의 인지적 관점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연구하기 위해 실험을 진행했다.
실험 참가자 중 애쉬의 동료 연구원들을 넣어 오답을 말하도록 짰다. 실험 참가자들에게는 하나의 기준선이 그려진 카드와 세 개의 선이 그려진 카드 두 장을 보여주었다. 세 개의 선이 그려진 두번째 카드에는 그 세 개의 선중 처음 카드의 기준선과 똑같은 길이의 선이 있었고 그것을 고르게 했을때 개인적으로는 99%가 답을 맞혔다. 그러나 동료 연구원들은 먼저 합의한대로 잘못된 응답을 하고 그들의 수가 많을수록 실험참가자들은 자신이 맞다고 생각하는 대답이 아니라 다수가 대답하는 것에 따라 잘못된 응답을 하였다. 즉 자신의 판단을 수정하여 다수 의견에 동조하는 경향을 보였다는 것이다. 사

애쉬의 동조실험은 인간의 사회적 영향력과 군중심리에 대한 인식을 높여주었으며, 우리가 타인의 행동에 영향을 받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이 실험은 그 후로도 다양한 분야에서 인용되고 확장되어, 집단 행동, 사회적 영향력 등 많은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