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욕망에 대하여 - 스피노자

마음철학

by 라브뤼예르 2023. 5. 17. 22:42

본문

반응형

욕망에 대하여 - 스피노자

욕망은 내 안에 있는 것인가 밖에 있는 것인가. 나의 욕망에 대해 잠시라도 시간을 내어 깊이 생각하고 바라봐 본 적이 있는가. 욕망은 정말 제일 어려운 문제인 것 같다. 내 욕망을 정의내리지 못하거나 그 대상을 확실히 하지 못하고 어디서 그 욕망이 왔는지 알지 못할진대 내가 나의 욕망으로 인해 내 인생을 잘 살고 있는지 아니면 내 인생을 망치고 있는지를 알기란 정말 어려운 일일 것이다. 오늘은 코나투스로 유명한 스피노자의 욕망 철학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나의 욕망에 대해 생각해보고 또 욕망으로부터 긍정적 측면을 찾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자.

 

마음철학
내 욕망에 대해

스피노자의 범신론, 무신론적 일원론

바뤼흐 스피노자 (1632-1677) 는 포르투갈계 유대인 네덜란드 철학자이다. 그는 범신론을 주장했다. 범신론은 신적 또는 궁극적 실재를 자연계 또는 우주 전체와 동일시하는 철학적, 종교적 관점으로 힌두교 등에서도 같은 주장을 하는데 이것을 주장한 철학자나 이론가 중 스피노자가 대표적이다. 또한 스피노자는 자연이 곧 신이요 유일한 실체라 하였다. 이것은 종교적인 신의 존재를 부정하고 자연을 신이라 하여 그가 신을 믿지 않는 무시론자였음을 알게 해준다. 그는 또한 데카르트의 몸과 마음 두개가 다르다는 심신 이원론에 반한 철학자 중 대표적인 인물로 일원론을 강조하였다. 일원론은 우주에 단 하나의 궁극적인 실재나 실체가 있다는 것이며 그것이 스피노자에게 종교적 신은 아니기에 그의 철학은 무시론적 일원론이라 불린다.

 

스피노자의 코나투스

스피노자는 그의 철학 저서, '에티카'에서 '코나투스'라는 개념을 도입했다. 코나투스(Conatus)는 인간을 포함한 만물에 존재하는 자기 보존을 위한 내재적 충동 또는 노력을 말한다.
스피노자에 따르면 코나투스는 인간을 포함하여 우주의 모든 개별 사물의 본질적 속성을 나타낸다. 그것은 자신의 존재를 지속하고 자기 보존을 추구하는 타고난 성향 또는 경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 코나투스는 모든 존재의 운동력이나 생명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원리이다. 자기 보존을 위한 이러한 노력은 무생물과 생물 모두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난다. 인간은 그런데 단순히 자신의 존재를 보존 하려고 할 뿐 아니라 그것을 발전시키고 성숙시키려 한다. 그래서 스피노자는 이 코나투스때문에 무한한 자기 계발이 가능하다하면서 코나투스의 긍정적 측면을 강조했다.

 

 

스피노자 철학에서의 욕망

중요한 것은 이 스피노자의 철학 요지인 코나투스가 욕망과 관계가 있다는 사실이다. 스피노자는 이 코나투스가 사람의 정신과 신체에 관계될 때 충동이라 했고 이 충동이 인식을 동반할 때 욕망이 된다고 했다. 그리고  인간의 욕망은 내면의 부족함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했다. 욕망은 우리 삶에서 부족하다고 인식하는 것을 만족시키거나 성취하려는 우리의 시도이다. 이러한 욕구는 신체적 필요, 정서적 웰빙, 사회적 인식 또는 지적 호기심과 관련될 수 있다. 
스피노자는 우리의 욕망을 이해하고 관리하는 것이 웰빙과 자유의 상태에 도달하는 데 중요하다고 믿었다. 그는 이성과 지식을 통해 우리의 욕망과 그 근본 원인을 더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우리 욕망의 진정한 본질을 이해함으로써 우리는 더 큰 자기 인식을 발전시키고 진정한 성취와 행복으로 이끄는 선택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욕망과 코나투스에 대한 스피노자의 관점은 궁극적으로 자기 이해, 자기 지배, 욕망을 이성과 지식에 맞추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는 우리 자신과 주변 세계와의 조화로운 상태를 위해 노력할 수 있다.

============================================================================================

 

나의 욕망이 스피노자의 말처럼 나의 부족함에서 왔을 가능성을 생각해보자. 어떤 부족함이 내게 있는지 그로 인해 내가 가진 욕망은 무엇을 향하는지, 그리고 그 욕망으로 인해 내가 발전하는 삶을 살고 있는지 오늘은 내 욕망에 깊은 숙고를 하는 시간을 가져보자.

반응형

'마음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욕망에 대하여 - 맹자  (4) 2023.05.19
욕망에 대하여 - 라캉  (1) 2023.05.18
욕망에 대하여 - 플라톤  (3) 2023.05.17
친구는 마음 건강의 제일조건  (1) 2023.05.16
삼매경의 생활화  (3) 2023.05.15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