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욕망에 대하여 - 플라톤

마음철학

by 라브뤼예르 2023. 5. 17. 09:15

본문

반응형

욕망에 대하여 -플라톤

 

욕망은 복잡한 현상이다. 보통 우리는 욕망하면 무언가에 대한 강한 갈망, 야망 혹은 얻을 수 없는 것에 대한 갈구 등등을 생각한다. 욕망은 무언가에 대한 강렬한 충동이나 매력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적 상태이다. 그리고 이러한 욕망때문에 우리는 불안을 느끼기도 하고 의욕적이 되기도 하는 등 우리 마음이 변하고 요동친다. 나의 욕망에 대해 조금이라도 감을 잡을 수 있다면 내 마음상태가 어떤 지 좀 더 잘 알 수 있지 않을까. 인간의 삶에서 욕망의 본질과 역할을 이해하는 것은 언제나 철학과 심리학의 탐구주제이다. 욕망을 연구한 철학자들을 통해 나의 욕망의 그 깊은 근원과 알 수 없었던 그 대상에까지 근접해보자. 

 

마음철학
에로스

플라톤의 책 '향연'

기원전 5~4 세기의 고대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은 그의 대화형식으로 된 책 "향연 (Symposium)"에서 철학적 이론과 예술에 대해 다룬다. 향연은 사람들이 모여 식사하고 술을 마시며 지적이고 철학적인 대화를 나누는 사교 모임에서 사랑, 욕망, 아름다움의 본질을 포함한 다양한 주제를 논의하고 탐구하는 형식의 글이다. 소크라테스는 이 토론과 대화를 이끄는 사람으로 글의 처음은 소크라테스와 파이드로스가 아름다운 날씨를 즐기며 운율적인 글쓰기와 연관된 주제를 논의하는 내용으로 시작된다. 이 글을 통해 플라톤은 에로스라는 개념을 소개한다. 이것은 욕망으로 번역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플라톤은  에로틱한 욕망의 본질과 아름다움, 진실, 철학적 깨달음 등을 추구한다. 이 에로스가 인간의 영적인 성장과 행복을 추구하는 데 필요한 동기 중 하나라는 것을 강조한다.


플라톤 철학에서의 욕망

플라톤은 욕망을 인간의 행동을 형성하고 개인을  목표와 열망으로 이끄는 강력한 힘으로 보았다. 플라톤의 철학에서 욕망은 단순한 충동이나 변덕이 아니라 진정으로 선하고 만족스러운 것에 대한 욕망과 내면의 본성을 반영한 것이다. 그러나 그는 억제되지 않은 욕망과 관련된 잠재적인 위험과 함정도 인식했다. 플라톤은 오로지 육체적 욕구와 정욕에 뿌리를 둔 욕망이 개인을 그릇되게 인도하고 참된 지혜와 미덕을 성취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고 믿었다.
플라톤은 물리적 영역과 관련된 저급하고 비합리적인 욕망과 진리, 아름다움, 도덕적 탁월함의 추구와 일치하는 고차원의 지적 욕망을 구별했다. 그는 후자인 고차원적 욕망을 잘 정돈되고 조화로운 영혼을 이루는 데 필수적인 것으로 보았다. 그는 자신의 욕망을 더 높은 이상과 일치시키고 지혜와 도덕적 미덕을 추구함으로써 진정한 행복과 성취를 얻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플라톤은 욕망의 궁극적인 대상이 완전하고 영원한 진리의 초월적 형태인 '선'이라고 믿었다. 이러한 양식에 대한 숙고와 이해를 통해 개인은 최고 수준의 지식과 성취를 얻을 수 있다. 
한마디로 플라톤의 욕망은 지식, 진리, 도덕적 미덕의 추구와 연결되어 있다. 그는 저급한 감각적 욕망의 유혹을 극복하고 내적 조화와 영적 깨달음의 상태에 도달하기 위해 절제하고 자제하며 지적 욕망을 배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플라톤 철학의 중심 이데아론

이데아론은 형이상학이론으로 플라톤 철학의 중심 개념이다. 플라톤에 따르면 우리가 감각을 통해 인식하는 물리적 세계는 단지 더 높고 영원한 현실 영역의 그림자 또는 불완전한 반영일 뿐이다. 그에 따르면, 이데아는 현상 세계 밖의 세상으로 모든 사물의 원인이자 또 본질이다. 이데아가 원인이라는 것은 예를 들면 인간은 인간의 이데아가 있기때문에 인간이 현상세계에 존재한다는 결과가 있다는 것이다. 모든 사물 또한 인간과 마찬가지이다. 다만 중요한 것은 현상 세계에 실재하는 모든 것들은 낡고 사라지는 것임에 반해, 이데아는 시간이 흘러도 그 모습이 변치 않는 본질로서, 현상 세계의 인간들과 모든 사물들이 궁극적으로 되고자 원하는 것 이데아이다. 이데아는 쉽게 말해 모든 존재하는 것들이 각기 모두 되고자하는 '이상형'을 가지고 있다고 보는 것이다. 

 

============================================================================================

 

고차원적 욕망이 무엇일까? 우리가 보통 연인을 원하는 것이나 돈을 많이 벌고 권력을 얻고 이런 단순한 형태의 욕망만을 먼저 떠올렸다면 이제 우리의 고차원적 욕망에 대해 숙고해봐야 할 시간이 필요할 것 같다.   

반응형

'마음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욕망에 대하여 - 라캉  (1) 2023.05.18
욕망에 대하여 - 스피노자  (3) 2023.05.17
친구는 마음 건강의 제일조건  (1) 2023.05.16
삼매경의 생활화  (3) 2023.05.15
다름을 인정할 때 마음은 치유된다  (3) 2023.05.12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