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기분 좋아지는 호르몬

마음철학

by 라브뤼예르 2023. 5. 22. 11:38

본문

반응형

기분 좋아지는 호르몬

나이가 좀 들면 날씨에 확실히 영향을 받는다. 젊을 때는 비가오는 날도 낭만적이어서 좋았건만 아침부터 흐리고 비가오면 기분이 조금 다운된다. 그러나 아침부터 해가 쨍쨍나면 기분이 막 좋고 뭐든 할 수 있을 것만 같다. 그러나... 매일 매일 기분좋게 살면 너무 좋고 그렇게 살아야 한다는 것도 알지만 기분이 좋아진다는 것만큼 어려운 것도 없는 것 같다. 소확행도 이 호르몬이 분비안되면 얻을 수 없는 것이니, 오늘은 기분좋아지는 호르몬에 대해 공부하며 마음건강을 챙겨본다.

 

마음철학
햇빛 받으며 일하기

세로토닌(Serotonin): 

세로토닌의 역할 -  세로토닌은 행복과 기분 좋음을 조절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뇌에서 생성되며, 긍정적인 감정, 안정감, 만족감을 증가시키고 불안과 우울감을 감소시키는 데에 기여한다.
세로토닌은 언제 분비되나 -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하는 시간, 칭찬을 받거나 성취감을 느끼는 순간, 운동이나 신체적인 활동을 할 때 (특히 유산소 운동은 세로토닌 분비를 촉진), 자연환경에 노출될 때, 즉 자연 속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산책을 하며 신선한 공기를 마실 때,  태양빛에 노출되는 것, 일명 광합성.

 

엔돌핀(Endorphin): 

엔돌핀의 역할 - 자연적인 통증 완화와 기분 개선을 돕는다. 신체적인 활동이나 스트레스 상황에서 분비되어 통증 감소와 기분의 안정을 촉진시킨다.

엔돌핀은 언제 분비되나 - 엔돌핀은 신체적인 활동이나 운동을 할 때 분비가 증가된다. 엔돌핀은 긴장과 스트레스 상황에서도 분비될 수 있다. 경쟁이나 도전과제에 직면할 때 엔돌핀 분비가 증가하지만 적당한 엔돌핀은 쾌감과 동기 부여를 도와줄 수 있디. 또 칭찬이나 격려와 같은 긍정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을 경험할 때 엔돌핀이 분비될 수 있다. 사회적으로 연결되고 인정받는 경험은 쾌감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웃음. 웃음은 엔돌핀 분비를 촉진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웃으면 엔돌핀이 방출되어 기분을 상승시키고 긍정적인 감정을 유발한다.

도파민(Dopamine): 

도파민의 역할 - 도파민은 기분 전환, 보상 시스템, 쾌감, 욕구 등을 조절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쾌적한 경험과 성취감을 느낄 때 도파민이 분비되어 기분이 좋아지고 즐거움을 느끼게 된다. 니다. 도파민은 음식, 사회적 상호작용, 성적 활동 등 다양한 자극에 의해 분비될 수 있습니다.
도파민은 언제 분비되나 - 도파민은 보상 시스템과 관련이 깊다. 예를 들어, 성취감을 느끼거나 목표를 달성할 때, 보상을 받거나 기대가 이루어질 때, 사랑하는 사람과 교류할 때, 좋은 음식을 먹을 때, 즐거운 취미나 여가 활동을 할 때, 또 새로운 경험을 하거나 도전적인 상황, 새로운 재미있는 활동을 시도하거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도파민은 증가한다. 마찬가지로 운동하고 신체적인 활동을 할 때.

 

옥시토신(Oxytocin): 

옥시토신의 역할 - 옥시토신은 사회적인 유대감과 신뢰, 애착에 관여하는 호르몬으로 알려져 있다. 접촉, 인간관계, 애정적인 상호작용 등에 의해 분비되며, 동정심, 안정감, 기쁨을 느끼게 한다.

옥시토신은 어제 분비되나 - 옥시토신은 사회적인 연결성과 관련이 깊다. 사람들과의 교류, 애정적인 관계, 동료애 등 사회적인 유대를 형성하고 또 기부나 원조 등 다른 사람을 도울 때 옥시토신 분비가 증가한다. 예를 들어, 어머니와 아기 사이의 스킨쉽, 부부 간의 신뢰와 애정적인 상호작용, 친구들 간의 서로 지원과 도움을 주고받는 경험 등이 옥시토신 분비를 촉진시킨다.  또 자연 분만 시에 옥시토신이 분비되어 자궁 수축을 촉진시키고 출산을 도와준다. 수유 과정에서도 옥시토신이 분비되어 수유 행동과 양육 동안의 유대 관계를 형성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옥시토신은 안정감과 안전한 환경과 관련이 있다. 안락하고 안전한 공간에서 지내는 것이 옥시토신 분비를 촉진한다.

===========================================================================================

 

기분좋아지는 호르몬 네 개를 한꺼번에 보니 왠지 기분좋아지는 건 무엇일까? 보니까 전반적으로 공통적인 게 운동을 하면 이 호르몬들이 다 나온다. 운동하고 호르몬 분비하는 하루가 되어보자. 

반응형

'마음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음 치료 - 메타인지  (2) 2023.05.23
마음 치유 - 동시성 이론  (6) 2023.05.22
심리학 이론을 통한 불안 극복  (1) 2023.05.21
마음 불안 - 자이가르닉 효과  (1) 2023.05.20
욕망에 대하여 - 맹자  (4) 2023.05.19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