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임하면 정치인들이 먼저 생각나서 부정적이 이미지가 강하다. 정치판에서는 전략적 틀을 먼저 짜고 대중의 사고를 콘트롤하여 잘못된 길로 인도한다는 막연한 부정적 함축성이 강한데 이 프레임 이론을 제대로 알고 개인적으로는 자신에게 적용하여 자신의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바꿔보는 데도 사용할 수 있다면? 프레임 이론을 잘만 이용하면 세상의 주인공도 될 수 있고 행복해질 수도 있다는 사실, 오늘은 프레임 이론에 대해 알아본다.
미국의 인지언어학자 조지 레이코프가 발명한 프레임 이론(Frame Theory)은 사회과학 분야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개인이나 집단이 정보를 해석하고 이해하는 데 사용하는 인지적인 구조를 설명하는 이론이다. 이 이론은 개인이 경험과 관찰을 통해 얻은 정보를 조직화하고 해석하는 방식에 초점을 두고 있다.
프레임은 사람들이 현실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데 사용하는 기본적인 인지적인 구조이다. 우리는 다양한 상황에서 특정한 프레임을 형성하여 그 상황을 해석하고 이해하며, 이를 통해 행동과 의사소통을 이끌어낸다. 프레임은 개인의 지식, 경험, 가치관, 문화적 배경 등에 의해 형성되며, 개인은 이를 사용하여 사회적인 현상과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해석한다.
프레임 이론은 사회적인 상호작용, 의사소통, 인식, 의사결정 등 다양한 영역에서 적용된다. 예를 들어, 정치적인 프레임은 정치적인 사안을 해석하고 이해하는 데 사용되며, 언론이나 정치 담화에서 특정한 프레임을 형성하여 정보를 전달하고 설득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프레임 이론은 개인의 인식과 의사소통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사회적 현상을 분석하고 설명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는 문제 해결, 의사결정, 의사소통 전략, 사회적 변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될 수 있다.
프레임은 또 새상을 바라보는 창이라고도 한다. 프레임은 자기자신에 대한 가치와 신념을 형성하고 전달하는 인식의 틀이다 . 자기 자신의 가치와 신념을 완전 긍정적으로 형성하면 삶이 어떨까? 어차피 프레임이 뭔지 알았다면 왜 자기에게 그 전략을 쓸 수 없겠는가.
몇 가지 방법은 다음과 같다.
자기 대화의 변화: 부정적인 자아 프레임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자기 대화에 주의를 기울이라. 부정적인 자아 이야기를 인식하고, 그에 대해 긍정적인 자아 이야기를 대신 제시하는 방식으로 내부적인 대화를 조절해보라. 자신에게 긍정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고 자기를 격려하는 대화를 하면 자신을 더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긍정적인 자아 강화: 자기 이미지를 강화하고 긍정적인 자아를 갖기 위해, 과거의 성과와 성공 경험에 주목하세요. 자신이 이룬 성과를 되새기고, 자기 성장과 발전에 대한 자부심을 가질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세요. 이러한 긍정적인 경험들을 상기시켜 자신을 더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습니다.
긍정적인 언어 사용: 자기에 대해 부정적인 언어와 생각을 지양하고, 대신 긍정적인 언어와 긍정적인 자아 이야기를 사용해보라. 자신을 이해하고 감사하며, 긍정적인 자아를 강조하는 언어를 사용하는 것은 자아 프레임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자기 주의와 관심: 자기 관리와 자기 주의에 주의를 기울이라. 자기를 존중하고 돌봐주는 방식으로 자기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건강하게 자기 관리를 해나가라. 자기에게 필요한 쉼과 휴식을 취하고, 자신을 돌보는 행동들을 통해 긍정적인 자아를 갖출 수 있다.
긍정적인 환경 조성: 자기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환경을 조성하라. 긍정적인 사람들과 교류하고 영감을 받을 수 있는 활동에 참여하며, 자기 자신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자료나 자기 계발 자료를 활용해보라. 환경은 우리의 자아 프레임에 영향을 미치므로, 긍정적인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
이제 자신이 뭐든 할 수 있고 긍정적이며 멋진 사람이라는 프레임에 씌어졌는가. 프레임을 진짜 제대로 씌우면 그대로 자신이 되고 인생이 된다는 사실.
개인 심리학 - 알프레드 아들러의 열등감 극복 (3) | 2023.06.08 |
---|---|
분석 심리학 - 칼 융의 무의식 (4) | 2023.06.08 |
칵테일 파티 효과와 멀티태스킹 (2) | 2023.06.07 |
스키마와 스키마 치료 (1) | 2023.06.05 |
이상심리학 - 이상 행동과 정신 장애 (5) | 2023.06.02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