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인지왜곡 (인지오류)

마음심리학

by 라브뤼예르 2023. 8. 27. 23:08

본문

반응형

인지왜곡 (인지오류)

 

우리 시대의 화두, 불안과 우울. 이 밑에는 '잘못된 생각'이 있다. 당신의 생각이 지금 잘못되어 있다는 것. 그것은 당신의 의지는 아니지만 여러원인에 의해 어떤 사실이나 사안을 있는 그대로 보고 해석하지 않고 왜곡된 형태로 받아들여 해석한다는 것이다. 그러니 생각을 바꿔라 하는 말이 너무나 식상하게 들리지만 가장 올바른 치료이며 너무 쉬울 것 같지만 참 어려운 것이다. 그러나 무엇이든 알고나서 노력하면 쉬워질 수도 있는 것 아닐까. 당신이 인지왜곡 상태인지 아닌지 조차도 몰랐으면 어떤 해결책이 있었겠는가만은 이제 인지왜곡 상태라는 걸 알면 그 왜곡을 조금 돌리고 펴보는 노력을 해 볼 수 있지 않을까.

 

마음심리학
인지왜곡

 

인지왜곡을 발견한 심리학자

인지왜곡을 처음 발견한 사람은 아론 벡(Aaron Beck)이라는 미국 심리학자 (1921~2021)이다. 아론 벡은 1960년대에 우울장애 환자들을 연구하면서, 이들의 부정적인 자동사고 패턴을 발견하게 되었다. 그는 환자들의 의식적이지 않은 사고와 신념이 감정과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관찰하였고, 이를 인지왜곡의 개념으로 정의하게 되었다.

아론 벡은 환자들의 의식적이지 않은 사고 패턴을 인지왜곡으로 명명하고, 이를 통해 부정적인 감정과 행동을 유발하는 메커니즘을 이해하고자 노력했다. 이후 그는 이 인사이트를 기반으로 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를 개발하였다. CBT는 인지왜곡을 수정하고 부정적인 사고 패턴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치료 방법으로, 우울, 불안, 스트레스 등 다양한 심리적 문제를 다루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인지 왜곡의 종류

인지왜곡은 다양한 형태와 패턴으로 나타날 수 있다. 아래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인지왜곡의 종류 몇 가지를 소개한다.


과일반화(Overgeneralization): 일부 사례나 경험만을 가지고 모든 상황을 일반화하는 경향이다. 하나의 부정적인 사건을 모든 상황에 적용해 몽땅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여기에 해당한다.

이분법적 사고(Binary Thinking): 모든 것을 극단적인 두 가지로 나누어 생각하는 경향이다다.  감정도 일순간에 수십개가 한꺼번에 일어날 수 있는 복잡다단한 세상인데 상황을 검은색과 흰색처럼 극단적인 이분법으로만 생각하는 것은 완전 왜곡이 아닐 수 없다. 

망각과 무시(Discounting and Filtering): 긍정적인 사건이나 경험을 무시하거나 무시하는 경향이다. 부정적인 것만 강조하고 긍정적인 것을 상쇄시키는 경우가 여기에 해당한다.

예측과 추측(Fortune Telling): 미래에 일어날 일을 미리 예측하고 부정적인 결과를 미리 상상하는 경향이다. 예상되는 실패나 문제에 대한 걱정과 불안이 이에 해당한다.

개인화(Personalization): 중립적인 사건을 자신과 연관시켜 자기나 다른 사람에 대한 개인적인 책임으로 해석하는 경향이다. 다른 사람의 행동을 자신과 연관시켜 자책하는 것이 여기에 속한다.

미지정 추론(Labeling and Mislabeling): 특정한 사건을 기반으로 자기나 다른 사람을 라벨링하거나 부정적인 특성을 부여하는 경향이다. 자기를 '실패자'라고 라벨링하거나 다른 사람을 부정적으로 라벨링하는 것이 여기에 해당한다.

마음 읽기(Mind Reading): 다른 사람의 생각과 의도를 추측하는 경향이다. 다른 사람이 자신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한다고  단정 지어 마음 읽는 것이 여기에 속한다.

이 외에도 다양한 인지왜곡의 형태가 있으며, 이러한 왜곡들이 부정적인 감정과 생각을 유발하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인지왜곡 고치기

이러한 인지왜곡 은 불안과 우울증, 강박증으로 나타나며  인지행동치료 (CBT)와 같은 접근법은 이러한 인지왜곡을 인식하고 수정하여 긍정적인 사고와 행동을 촉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치료를 받으러 병원이나 상담소에 가서 적요받는 것도 좋지만 정도가 심하지 않고 이제 이 인지왜곡의 정의를 알았다면 당신도 이런 면이 있지 않나 메타인지를 먼저하고 하나씩 바꿔보는 노력을 해보는 것도 좋겠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