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사람이 온다는 것 - 질 들뢰즈의 사랑

마음철학

by 라브뤼예르 2023. 9. 21. 21:50

본문

반응형

사람이 온다는 것 - 질 들뢰즈의 사랑

 

사랑에 대한 철학적 고찰은 오랜 역사 동안 수많은 철학자들에 의해 다루어졌다. 그 중에서도 프랑스의 철학자 질 들뢰즈는 사랑은 사람과 사람보다는 세계와 세계의 만남이라는 개념을 말하여 정현종의 시 '방문객'을 떠올리게 한다. 질 들뢰즈는 그의 작품을 통해 사랑의 복잡한 본질을 탐구하고 있으며, 그의 접근 방식은 독창적이고 철학적으로 흥미로운 것으로 유명하다.

들뢰즈는 사랑을 단순한 감정이나 욕구로 보지 않고, 심층적인 철학적 관점에서 이해하려 노력했다. 그는 사랑을 개체 간 관계와 자아의 변화에 대한 중요한 요소로 간주하며, 이것은 그의 "사랑의 개념"의 핵심이다.

 

마음 철학
너와 나의 세계

 

들뢰즈가 말하는 사랑의 과정

  • 자아의 변화: 들뢰즈는 사랑을 자아를 변화시키는 과정으로 이해한다. 사랑은 우리의 아이덴티티를 형성하고 확장시키는 힘이다. 사랑하는 사람과의 관계를 통해 우리는 자신의 한계를 넘어서며 새로운 면모를 발견하고 개발한다.
  • 다른 사람과의 연결: 들뢰즈에 따르면, 사랑은 우리를 다른 사람과 연결시키는 과정이다. 이는 서로 다른 존재들 간의 상호 의존성을 강조한다. 사랑은 단순한 욕망이 아니라 상대방의 존재를 존중하고 그와 함께 성장하는 과정이다.
  • 자기애의 초월: 들뢰즈는 사랑을 자기애의 초월로 이해한다. 이것은 자아 중심의 세계에서 벗어나 다른 사람을 포함하는 경험을 의미한다. 사랑을 통해 우리는 자아 중심의 세계관을 뛰어넘고 더 큰 공동체와 연결된다.
  • 자아와의 조화: 들뢰즈의 사랑 이론은 자아와의 조화를 중요하게 강조한다. 사랑은 서로 다른 개체 간의 충돌과 불일치를 조화시키는 힘이며, 이를 통해 새로운 창조적인 에너지를 발견할 수 있다.

들뢰즈의 사랑의 특징

  • 창조성: 사랑은 새로운 세계를 창조하는 과정이다. 사랑을 통해 두 사람은 서로를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고, 새로운 삶을 시작한다.
  • 개방성: 사랑은 두 사람의 만남을 통해 새로운 세계가 열리는 과정이다. 사랑을 통해 두 사람은 서로의 세계를 이해하고, 서로에게 새로운 것을 배우게 된다.
  • 변증법성사랑은 사람의 차이가 만나는 과정이다. 사랑을 통해 사람은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것을 만들어낸다.

들뢰즈를 통해 배우는 사랑의 의의

들뢰즈의 사랑의 개념은 복잡하고 심오하지만 매우 위안이 되는 인생철학의 한 부분으로 봐야 할 것이다. 사랑이 어떻게 우리의 삶과 아이덴티티에 깊은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고찰하고, 사랑하는 사람끼리 서로를 이해하고 연결하는 과정에서 어떻게 성장하고 발전하는지에 대해 생각해 있다. 사랑은 단순한 감정 이상으로, 인간의 본성과 존재에 대한 중요한 철학적 주제이다.

들뢰즈의 사랑의 개념을 바탕으로 우리는 사랑을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볼 수 있다. 사랑은 두 사람의 만남이 곧 두 세계의 만남이며 이 두 세계의 차이가 만나 창조와 개방을 거쳐 새로운 세계를 형성하는 것. 사랑은 정의내릴 수 없고 언제나 변하고 있는 것이다. 오늘도 사랑으로 아픈 사람들에게 이 사랑의 정의가 너무 성숙한 느낌은 있으나 조금은 위안이 되길 바래본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