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의 성장이란 무엇일까? 성숙하지 못한 어른이라는 게 언제나 부끄러운 우리들... 우리는 다양한 고통을 겪는다. 돈, 가족, 사랑, 명예 등등 우리를 괴롭히는 일들은 끝이 없다. 이러한 고통은 진정 우리를 더 성숙한 사람으로 만드는 과정일까.
인생의 고는 분명 존재한다. 그것은 그 누구도 대신해줄 수 없고 안풀려도 풀고 또 풀어야 하는 자신의 숙제이다.
철학은 우리가 인생의 고통을 이해하고 극복하는 방법을 완전히는 아니지만 어렴풋이 제시해 준다. 철학은 삶의 의미와 가치에 대해 탐구하는 학문이고 결국 우리는 고통의 나날속에서도 삶의 의미를 찾아야 웃을 수 있으니까. 철학을 통해 우리는 인생의 고통이 왜 존재하는지, 그리고 그 고통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지 배울 수 있다.
우리가 제일 먼저 그리고 결과적으로 철학을 통해 알게 되는 것은 고통을 받아들이는 법이다.
인생에는 누구에게나 피할 수 없는 고통이 있다. 이러한 고통을 부정하거나 회피해서는 해결되지 않는다. 어릴 때는 어렴풋이 이해하는 듯 하면서도 정확히 무언지 모르는 고통이 어른이 되어서는 이해가 간들 피하고 부인하려는 고집을 피운다. 결국 고통은 고스란히 자신의 몫이다. 고통을 받아들이고, 그것을 삶의 큰 일부다라고 생각하는 것이 철학의 자세이다.
고통을 분석하고 따지는 과정도 필요하다. 그러나 그것에는 큰 시간과 노력을 할애하지는 말자.
그 다음은 고통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고통을 받아들이고 의미를 찾았다면, 필연적으로 그것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노력이 없이는 절대로 해결되지 않는다는 것. 어른이니까 자신이 그 어려움과 고통을 이겨내려고 애써 노력하면 그 노력이 무척 히미들지만 시간과 함께 당신은 더 큰 어른이 되어 있을 것이다.
철학을 통해 인생의 고통을 극복한다면, 우리는 좀 더 나은 사람이 될 수 있다. 고통을 통해 우리는 강해지고, 성숙해진다. 또한, 삶의 의미와 가치를 더 깊이 이해하게 된다.
다음은 철학을 통해 좀 더 나은 사람이 되기 위한 몇 가지 방법이다.
자신을 돌아보는 시간을 갖는다.
철학을 공부하기 전에, 먼저 자신을 돌아보는 시간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자신의 생각과 가치관을 정리하고, 삶에서 무엇을 원하는지 생각해 보자.
다양한 철학을 공부한다.
하나의 철학만 공부하는 것보다는 다양한 철학을 공부하는 것이 좋다. 다양한 관점에서 인생을 바라볼 수 있다면, 삶의 고통을 더 잘 이해하고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철학을 실천한다.
철학을 단순히 지식으로만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 실천에 옮기는 것이 중요하다. 철학에서 배운 내용을 일상생활에서 실천해 보면서, 삶의 변화를 느껴보자.
인생의 고통은 우리를 성장시키는 과정이다. 철학을 통해 인생의 고통을 이해하고 극복한다면, 우리는 좀 더 나은 사람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로티의 아이러니스트 - 포스트모더니즘적 인간 (1) | 2023.10.06 |
---|---|
질 들뢰즈의 리좀 사유와 포스트모더니즘 (0) | 2023.10.02 |
불안과 불확실성의 철학적 승화 (2) | 2023.09.22 |
사람이 온다는 것 - 질 들뢰즈의 사랑 (4) | 2023.09.21 |
AI와 인간 - 니체의 주체 철학 (0) | 2023.09.15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