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균형과 웰빙 - 삶의 궁극

마음철학

by 라브뤼예르 2023. 8. 27. 23:35

본문

반응형

균형과 웰빙 - 삶의 궁극

 

웰빙(wellbeing)은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건강하고 행복한 상태를 말한다. 웰빙은 단순히 돈이 많고 질병이나 어려움이 없는 상태가 아니라, 삶의 모든 측면에서 만족과 기쁨을 느끼는 상태를 말한다. 웰빙이 현대 사회의 중요한 화두 중 하나가 된 건 오래전 얘기다. 현대 사회는 빠르게 변화하고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사람들은 스트레스와 불안, 우울 등 다양한 심리적 문제를 경험하고 있다. 웰빙은 이러한 심리적 문제를 예방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그런데 웰빙의 전제는 균형이다. 어떤 분야에서든 골고루 좋아야지 한나만 특별히 좋으면 그건 웰빙과 거리가 제일 멀다.

 

마음심리학
== Wellness ==

웰빙과 균형의 관계

웰빙을 위해서는 균형이 중요하다. 균형은 개인의 다양한 삶의 영역을 적절하게 조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웰빙을 위해서는 정신적, 신체적, 사회적, 환경적 영역의 모든 요소들이 조화롭게 발전해야 한다. 쉽게는 돈, 일, 건강, 사랑, 가족, 명예 등 모든게 골고루 괜찮아야지 돈많은 백수나 명예롭지만 가족 먹여살릴 생활비도 벌지 못하는 사람등, 이들은 균형면에서 정말 꽝이며 생활이 웰빙일리 없다. 

알프레드 아들러

아들러는 심리학적인 관점에서 개인의 웰빙과 삶의 균형을 중요하게 여겼다. 아들러는 개인의 행동과 심리적 상태는 그들의 목표와 가치, 사회적 관계와의 상호작용에서 유래한다고 믿었다. 그의 개념들은 웰빙과 균형을 이해하고 실현하는 데 도움이 되는 통찰을 제공한다.

목표 지향성과 웰빙: 아들러는 개인의 행동을 목표 지향적인 것으로 해석하였다. 개인은 자신의 목표를 향해 노력하고 발전하기를 원한다. 이 목표 지향성은 웰빙을 달성하는 동력이 될 수 있다. 만약 목표가 균형과 긍정적인 변화를 향한 것이라면, 개인의 웰빙이 증진될 것이다.

사회적 관계와 균형: 아들러는 사회적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개인은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의 가치를 확인하고 사회적인 연결을 형성하려 합니다. 이러한 사회적 관계의 균형은 개인의 웰빙에 영향을 미친다. 긍정적인 관계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우리는 자아를 강화하고 사회적으로 안정된 삶을 살아갈 수 있다.

미래 지향적 태도와 균형: 아들러는 과거의 상처나 어려움보다는 미래의 가능성에 초점을 맞추는 태도가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미래에 더 나은 삶을 만들기 위한 노력과 목표를 가지는 것은 웰빙과 균형을 유지하며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가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알프레드 아들러의 심리학은 개인의 목표, 사회적 상호작용, 미래 지향성과 관련하여 웰빙과 균형을 심도 있게 이해하려는 시도였다. 그의 관점을 통해 우리는 삶의 다양한 영역에서 웰빙과 균형을 찾아가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

 

웰빙과 균형은 현대 사회에서 중요한 화두이다. 현대 사회는 빠른 변화와 경쟁으로 인해 스트레스가 증가하고, 개인의 삶의 영역이 다양화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웰빙과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심리학자와 철학자들이 제시한 다양한 개념을 참고하여,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고, 새로운 균형을 찾는 노력이 필요하다. 긍정심리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마틴 셀리그먼은 "행복"이란 개념을 탐구하며 웰빙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삶의 다양한 영역에서 긍정적인 경험을 찾고, 자신의 강점과 관심사를 발견하여 균형을 찾아가는 것이 행복의 핵심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삶의 다양한 면을 균형 있게 관리하며 긍정적인 감정을 촉진함으로써 웰빙을 증진하는 방법이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