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가 들면 시간이 빠르다고 느낀다던데 시간도 빠르고 참 시대가 확확 바뀌어감을 느낀다. 요즘 대통령의 발언으로 요새 수능에 대해 엄청 말이 많아졌는데 수시 정시 생각하면서 포스트 모더니즘을 생각하게 된 건 너무 나간것일까? 학생들의 다양한 능력과 잠재력을 평가하기 위해 수시와 정시라는 서로 다른 경로가 제공되는 우리나라 입시제도에 대해 어떤 세대든 분명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야함은 분명한것 같다. 오늘은 생각난 김에 철학에서 이 포스트모더니즘을 모르고 넘어가서는 안되기에 포스트 모더니즘 첫 발을 떼어본다.
철학자 리오타르에 의하면 포스트모더니즘의 접두사로 사용된 포스트는 이후, 반대, 넘어서란 뜻을 지닌다. 그러므로 모더니즘이후의 사유체계, 혹은 근대의사유체계를 반대하는 입장, 그리고 마지막으로 근대의 사유체계를 비판적으로 수용하며 극복하는 사유방식이다.
포스트모더니즘은 20세기 후반에 등장했으며 프랑스 철학자들 사이에 일어난 일련의 사상적 특징으로 모더니즘(근대성)의 비판과 대안으로 제시된 이론적인 관점이다. 모더니즘은 불확실성, 복잡성, 다양성을 감안하지 않고 단일한 진리, 이성, 발전을 강조하는 철학적인 접근이었다면, 포스트모더니즘은 이러한 모더니즘의 이념과 기반을 의심하고, 대안적인 시각과 해석을 제시한다.
비판적 시각: 서양의 근대는 절대적 이성을 믿었던 시대로 특징지어진다. 포스트모더니즘은 첫째 이러한 절대적 진리나 이성, 가치를 비판한다. 포스트모더니즘은 모더니즘에 대한 반성에서 출발한다. 모더니즘은 이성, 진리, 보편성, 진보 등을 강조했다. 그러나 포스트모더니즘은 이러한 가치들이 환상이라고 비판한다.
상대성과 다양성: 포스트모더니즘은 근대에 서양에서 절대적으로 믿었던 진리나 가치의 존재를 부정하고 상대적인 관점과 다양성을 강조한다. 진리와 가치는 역사, 문화, 사회적 맥락에 의해 형성되며 상대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보편성의 해체: 포스트모더니즘은 모든 진리가 상대적이라고 주장한다. 따라서 보편성은 존재하지 않는것이다. 포스트모더니즘은 관습과 제도의 해체를 주장합니다. 따라서 보편적인 가치관도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의미와 표현의 불안정성: 포스트모더니즘은 언어와 많은 관계가 있다. 포스트모더니즘은 의미와 표현의 불안정성을 강조한다. 언어와 기호 체계는 다의성과 모호성을 가지며, 현실을 완벽하게 전달하거나 표현할 수 없다는 주장을 한다.
권력과 지식의 비판: 포스트모더니즘은 권력과 지식의 관계를 비판한다. 권력과 지식은 사회적으로 조직되고 통제되며, 특정한 이익과 시각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는 주장을 한다.
============================================================================================
포스트모더니즘은 다양한 학문 분야에 영향을 미치면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철학적으로 정확한 정의는 어렵다. 그러나 포스트모더니즘은 가장 먼저 절대성을 부정하고 다양성을 강조하는 특성이 있다. 학력고사에서 수능, 수시와 정시로 넘어가며 대학가는 천가지 방법이라는 말도 유행했는데 포스트모더니즘 철학을 우리나라 입시에 대입해보며 다양성의 진정한 의미를 사색해 보는 것도 괜찮은 시간이 될 것이다.
보드리야르의 시뮬라시옹 - 포스트모던 사회 (4) | 2023.06.24 |
---|---|
포스트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 (5) | 2023.06.23 |
초연결성과 불교의 연기설 (6) | 2023.06.18 |
머피의 법칙 vs 샐리의 법칙 (5) | 2023.06.17 |
철학이란 무엇인가 - 들뢰즈와 가타리 (4) | 2023.06.17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