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머피의 법칙 vs 샐리의 법칙

마음철학

by 라브뤼예르 2023. 6. 17. 20:16

본문

반응형

머피의 법칙 vs 샐리의 법칙

시험을 앞두고 공부를 열심히 했는데 갑자기 아프거나  겨우 옷을 입고 나가려고 하는데 단추가 똑 떨어지는 등 재수가 없는 일들이 공교롭게 한 번에 터지는 경우 우리는 머피의 법칙이라는 말을 쓴다. 그런데 이와는 반대로 약속 시간보다 늦게 도착했는데 상대방이 더 늦게 온 경우나 돈이 별로 없는 상황에서 그 상대방이 자기가 늦게 왔으니 밥 사겠다고 하는 등 우연히 좋은 일들이 겹치는 작은 운들에 대해서는 우리가 샐리의 법칙이라는 말을 쓴다. 오늘은 이 두 법칙의 기원과 자세한 뜻에 대해 알아본다.

 

마음철학
머피의 법칙

 

머피의 법칙

머피의 법칙 (Murphy's law)은 안 좋은 일들이 연달아 일어나거나 겹쳐 일어날 때를 이르는 일종의 징크스이다. 미공군이었던 에드워드 머피라는 사람이 실험을 진행 중이었다. 그는 자신이 새로 만든 측정장치를 설치했는데 그의 밑에 있던 기술자들이 자신이 설계한 것을 모두 잘못된 방법으로 조립해 놓은 것을 발견했다. 이런 실수때문에 실험은 엉망이 되었고, 이후 그는 '어떤 일을 하는 데는 여러 방법이 있고, 그 방법 가운데 하나가 만약 재앙을 초래할 나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면 누군가가 꼭 그 방법을 쓴다'라는 법칙을 만들었다. 이처럼 어떤 일이 잘못되어 가는 상황에 대해 이야기할 때 서양에서 흔히 사용되는 말이다.

 

간단히 줄이자면 "잘못될 수 있는 일은 결국 잘못되기 마련이다. 영어로는 “If Anything Can Go Wrong, It Will"라고 정리할 수 있다. 일종의 징크스라고 할 수 있고 또 부정적인 마음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인간의 한계나, 우연의 경우, 기술적인 결함이 있을 때, 혹은 예측 불가능한 요소 등에 대해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머피의 법칙은 재밌게 유머러스한 상황에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예상 못한 일이 발생하는 상황을 재치 있게 설명하기 위해 쓰는 것이다. 그리고 이 법칙은 우리가 계획한 일이 항상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을 수 있다는 현실적인 인식을 갖게 해주기 때문에 주의력, 준비, 유연성, 대비책 마련 등과 같은 요소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예기치 못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하도록 유도하는 철학이다. 예상치 못한 일에 대비하고, 가능한 한 최선을 다하는 것이 중요하다.

 

샐리의 법칙

샐리의 법칙은 자신에게 유리한 일만 계속 일어나는 경험법칙으로 우연히 일이 모두 바라는 대로 진행되거나 연달아 좋은 결과만 나타나는 경우는 말한다. 또 이 법칙은 새옹지마나 전화위복과 같은 나쁜 일이 오히려 좋은 방향으로 이어지는 상황을 나타내기도 한다.

이 샐리의 법칙은 영화해리가 샐리를 만났을 때에서 유래한다고 한다. 1990년대에 인기가 가장 많았던 여배우 중 한 명인 맥라이언이 열연했던 이 영화의 주인공 샐리는 엎어지고 넘어지는 등의 계속 안 좋은 일만 겪지만 결국에는 영화가 해피엔딩으로 끝난다. 이런 샐리의 모습에서 샐리의 법칙이 유래되었다고 한다. 나쁜 일이 결국에는 좋은 일로 이어진다는 전화위복의 의미를 담은 법칙이라 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샐리의 법칙은 일련의 어떤 운이 좋은 일들의 발생이라는 현상보다는 긍정적인 마음으로 잘될 거라 믿으면 운이 좋게 들어온다는 철학을 담고 있어 머피의 법칙보다 그 의미가 더 광범위하다고 할 수 있다. 영화에서 기원하여 가볍게 만들어졌고 이론의 바탕은 탄탄하지 않아도 이 샐리의 법칙은 긍정적인 마음으로 열심히 살면서 좋은 일이 생기기를 바라는 태도를 갖자는 의미에서 기분좋은 법칙인 것 같다.

 

============================================================================================

 

머피의 법칙과 샐리의 법칙은 제대로 된 과학적 이론은 아니므로 마음 먹기에 따라 좋은 일이 많이 생길 수도 그 반대일 수도 있다는 긍정적인 사고를 위해 유머러스하게 이용하면 더 재밌는 법칙이 될 것이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