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쇼펜하우어와 염세주의

마음철학

by 라브뤼예르 2023. 10. 28. 22:59

본문

반응형

쇼펜하우어와 염세주의

쇼펜하우어는 19세기 독일의 철학자이다. 그는 인간의 삶이 고통과 욕망으로 가득 차 있으며, 이는 근본적으로 부정적인 것이라고 주장한 염세주의자로 분류다. 그러나 역시 '의지'를 강조한 쇼펜하우어 철학도 하나의 긍정으로 나아가는 발판이다.

쇼펜하우어의 철학은 다음과 같은 핵심 개념으로 요약할 수 있다

마음철학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쇼펜하우어는 세계를 표상의 세계와 의지의 세계로 나눈다. 그러나 '표상의 세계'는 인간이 인식함에 있어서 왜곡된 것에 불과하므로 사실상 쇼펜하우어는 '의지의 세계'를 세계의 본질이라고 생각했다.

  • 표상의 세계: 인식론으로 파악한 세계. 인식 과정만으로는 칸트가 말한 '물자체'를 알 수 없다. 우리는 단지 그 '물자체'에 관련된 인식 표상만을 얻을 수 있을 뿐이다. 이러한 인식 표상은 충분근거율에 의해 조건 지어진다. 표상들의 관계를 조건 짓는 충분근거율에는 '시간과 공간', '인과율', '동기', '논리 규칙'이 있다. (출처: 나무위키)
  • 의지의 세계: 나의 신체로부터 알게되는 세계. 유추해 보면 무생물의 ''조차도 일종의 '의지'라는 것이 쇼펜하우어의 주장이다. '의지' 세상의 본질이므로 칸트의 '물자체' 바로 '의지' 다를 없다. '의지' 충분근거율에 의해 조건 지어지지 않으므로, 시간과 공간, 인과율, 동기, 논리 규칙과 무관하게 존재한다. (출처: 나무위키)

의지와 염세주의 철학

의지(Will): 쇼펜하우어는 세계를 구성하는 근본적인 힘으로 "의지"를 지목했다. 이는 욕망과 열망의 원천으로, 모든 존재는 이 의지에 따라 움직인다고 보았다.

인간의 고통과 염세주의: 그는 의지가 욕망의 원천이며, 욕망은 고통을 초래한다고 믿었다. 그래서 인간은 끊임없는 욕망의 수렴과 고통의 사이에서 삶을 산다고 이야기했다.

자기 부정과 명상: 쇼펜하우어는 자기 부정(self-negation)을 통해 욕망을 통제하고, 명상을 통해 내적 평화를 찾는 것이 해답이라고 주장했다.

미술과 음악의 중요성: 미술과 음악은 쇼펜하우어에게는 인간 정신을 격려하고 우울함을 해소하는 중요한 매체로 작용했다. 그는 음악이 심장 속의 울림과 육체를 초월하는 느낌을 준다고 믿었다.

 

쇼펜하우어의 철학

쇼펜하우어의 철학은 인간 존재의 본질적인 고뇌에 대한 깊은 고찰을 담고 있다. 그는 삶이 본질적으로 고통스럽다고 보았지만,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한 방법을 제시했다. 그의 작품은 존재의 의미와 인간의 내면적 심리에 대한 고찰을 통해 많은 철학적 사유를 논의하고 있다.

쇼펜하우어의 철학은 현대 사회에서도 여전히 공감할 수 있는 부분이다. 우리는 삶에서 다양한 형태의 고통을 경험한다. 이러한 고통은 경제적 어려움, 질병, 관계의 갈등 등 다양한 원인에서 비롯된다. 또한, 우리는 끊임없이 무언가를 원하고, 그 욕망을 이루기 위해 노력한다. 그러나 이러한 욕망은 결코 충족될 수 없기 때문에, 우리는 끊임없이 불안과 불만을 느끼게 된다.

쇼펜하우어의 철학은 삶의 고통과 욕망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그는 예술과 미를 삶의 긍정적인 요소로 보았다. 예술과 미는 인간에게 즐거움과 위안을 제공하며, 삶의 의미를 찾는 데 도움을 준다고 주장했다. 또한, 그는 욕망을 억제하고, 삶의 단순한 즐거움을 추구할 것을 권장했다. 쇼펜하우어의 철학은 우리에게 삶을  풍요롭게   있는 지혜를 제공합니다.

쇼펜하우어의 철학은 다음과 같은 영향력을 미쳤다.

  • 염세주의 철학의 발전: 쇼펜하우어의 철학은 염세주의 철학의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니체, 프로이트, 베르그송 등 쇼펜하우어의 영향을 받은 철학자들은 인간의 본성에 대한 회의적이고 부정적인 시각을 제시했다.
  • 예술과 미학의 발전: 쇼펜하우어의 철학은 예술과 미학의 발전에도 영향을 미쳤다. 쇼펜하우어는 예술과 미를 삶의 긍정적인 요소로 보았으며, 예술과 미를 통해 인간은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주장은 예술과 미학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