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조리는 인간 존재의 본질적인 특징 중 하나로, 실존주의(Existentialism) 철학의 핵심 개념 중 하나이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실존주의의 핵심 요소들과의 관련성을 둘러보는 것이 중요하다. 실존주의는 인간의 존재의미와 불안, 절망, 자유 등의 주제를 탐구하는 철학적 입장이다. 오늘은 이러한 실존주의의 요소들이 부조리에 뿌리를 두고 있음에 대해 생각해보자.
부조리(absurdity)는 인간의 존재와 세계 사이에 존재하는 불일치 또는 모순을 의미한다. 부조리는 인간의 삶이 의미가 없다는 생각과 목적 없이 무의미하게 느껴지는 상태를 말한다.
부조리는 인간의 존재적 불합리성이며 실존주의에서 인간의 본질적 불합리성을 강조한다. 인간은 종종 세상의 불확실성과 모순, 무의미함 등을 경험하며, 이러한 경험으로부터 부조리를 느끼게 된다.
또 부조리는 현실과 인간의 기대, 욕망, 가치관 등 사이의 불일치에서 비롯된다. 현실과 인간의 이상과의 불일치는 부조리를 더욱 강조하게 만다.
세계의 부조리: 세계는 인간의 이해를 넘어서는 근본적인 모순으로 가득 차 있다. 이러한 모순은 인간에게 부조리한 느낌을 준다.
인간 존재의 부조리: 인간은 본질이 없는 존재이며, 자신의 삶을 스스로 의미를 부여해야 한다. 하지만, 인간은 자신이 왜 존재하는지,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알 수 없다. 이러한 무지와 불확실성은 인간에게 부조리한 느낌을 준다.
자유와 선택의 부담: 실존주의에서는 인간은 자유로움을 가지고 있지만, 이는 동시에 선택의 부담과 책임을 동반한다. 이 선택과 책임은 종종 부조리를 더욱 강조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의미의 탐색: 실존주의자들은 부조리를 경험하고 이를 통해 자아를 탐색하며, 그에 대한 이해를 발전시키려고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부조리는 삶의 의미를 찾는 여정에서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
실존주의자들은 부조리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노력을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자유의 선택 - 인간은 자신의 삶을 스스로 의미를 부여해야 한다. 따라서, 인간은 자유롭게 선택하고 행동해야 한다.
책임의 수용 - 인간은 자신의 선택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 따라서, 인간은 자신의 삶에 대한 책임을 수용해야 한다.
진실의 직시 - 인간은 부조리를 직시하고 받아들여야 헌다. 인간은 진실을 직시하고, 그 속에서 자신의 삶의 의미를 찾아야 한다.
부조리는 삶의 의미를 찾는 과정으로 이끈다. 부조리는 단순히 인간의 이성적 이해를 넘어, 삶의 본질적인 의미에 대한 깊은 고찰을 초래한다. 이러한 깊은 고찰은 삶의 의미와 존재적 고뇌에 대한 탐구를 이끌어내며, 이는 실존주의 철학의 핵심 요소 중 하나이다.
부조리는 삶의 불합리함, 모순, 의미의 불일치 등을 다루는 실존주의 철학의 중요한 개념 중 하나다. 인간의 경험과 삶의 의미에 대한 고찰에서 부조리는 상당히 중요한 측면을 차지하며, 이는 인간의 본질적인 불합리성을 탐구하는 철학적인 고찰의 출발점이 된다.
낭만주의 사조와 철학 (1) | 2023.11.23 |
---|---|
르네 지라르 - 삼각형 욕망 (0) | 2023.11.19 |
사르트르의 실존주의 - 자유와 책임의 철학 (0) | 2023.11.14 |
에라 모르겠다 철학 (2) | 2023.11.13 |
칼 야스퍼스의 한계상황 (0) | 2023.11.12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