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르네 지라르 - 삼각형 욕망

마음철학

by 라브뤼예르 2023. 11. 19. 23:06

본문

반응형

르네 지라르 - 삼각형 욕망

 

르네 지라르(René Girard)의 욕망삼각형은 인간의 욕망은 타인을 통해서 형성된다는 이론이다. 지라르는 인간은 타인이 욕망하는 대상을 욕망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타인은 욕망의 중개자(mediator) 역할을 한다고 주장한다. 여러 철학자들이 욕망에 대해 분석하고 자신만의 이론을 내놓지만 지라르의 삼각형 욕망은 분석적이면서도 이해되기 쉽다고 생각된다. '인간은 타자의 욕망을 욕망한다'라는 라깡의 유명한 말과도 관련이 깊은 르네 지라르의 삼각형 욕망에 대해 알아보자.

마음철학
삼각형 욕망

 

삼각형 욕망

르네 지라르(René Girard)의 '삼각형 욕망'은 그의 문학 비평 및 철학 이론 중 하나로, 인간 간의 욕망이 상호작용하고 발전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개념이다. 

 

욕망의 주체(subject of desire): 대상을 욕망하는 사람
욕망의 대상(object of desire): 욕망의 주체가 욕망하는 것
욕망의 중개자(mediator of desire): 욕망의 주체가 욕망의 대상을 욕망하게 만드는 사람

 

예를 들어, A가 B가 가진 물건을 욕망한다고 가정해 보겠다. 이 경우 A는 B를 욕망의 중개자로 삼아 B가 가진 물건을 욕망하게 된다. 즉, A는 B가 가진 물건이 좋은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고, 그 물건을 갖고 싶다는 욕망을 가지게 된다.

지라르는 욕망삼각형이 인간의 사회생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욕망삼각형이 인간의 경쟁, 갈등, 폭력 등의 문제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보았다.

 

삼각형 욕망의 구성요소 


모델링(Mimesis - 모방): 욕망 삼각형의 첫 번째 요소는 모델링이다. 이는 사람들이 타인의 욕망, 행동, 특히 원하는 대상을 모방하려는 경향을 의미한다. 사람들은 주변 사회나 모델로 삼는 인물 등을 통해 모방하고 따라하며 욕망을 형성한다.

경쟁(Rivalry): 모델링된 욕망을 통해 사람들은 같은 대상에 대해 경쟁적인 갈등을 겪게 된다. 모델과 동일한 대상을 원하는 데 대한 경쟁은 사회적인 갈등을 유발하고 삼각형의 형태로 나타난다.

분열(Conflict): 이 경쟁은 결국 사회적인 분열을 초래하며, 이는 종종 폭력이나 갈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각자가 동일한 대상을 추구하면서 발생하는 갈등은 사회적 분열과 충돌을 야기할 수 있다.

지라르는 이 욕망 삼각형을 통해 인간의 욕망이 모방, 경쟁, 분열과 같은 과정을 통해 형성되고 발전한다고 설명한다. 이는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욕망의 형성과 변화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사람들이 서로를 모방하고 경쟁하며 충돌하는 과정에서 어떻게 사회적인 분열이 발생하는지를 설명하는 지라르의 중요한 이론 중 하나이다.

 

르네 지라르의 욕망 vs 자크 라깡의 욕망

르네 지라르와 자크 라깡은 모두 욕망이 타자를 통해 형성된다는 점에 동의하지만, 그 방식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다.
라깡은 욕망을 언어적인 차원에서 파악한다. 그는 욕망은 상징계의 질서에 의해 규정되며, 언어를 통해 형성된다고 주장한다.

 

라깡의 욕망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욕망은 결핍이다. 인간은 언어를 통해 자신이 결핍된 존재임을 깨닫게 되며, 그 결핍을 채우기 위해 욕망하게 된다.
욕망은 타자와의 관계이다. 인간은 타인을 통해 자신을 발견하고, 타자를 통해 욕망을 형성한다.
욕망은 언어를 통해 형성된다. 인간은 언어를 통해 타자를 인식하고, 타자의 욕망을 이해하게 된다.

 

지라르의 욕망은 라깡의 욕망과 유사한 점도 있지만, 몇 가지 차이점도 있다. 지라르의 욕망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욕망은 모방이다. 인간은 타인의 욕망을 모방함으로써 욕망을 형성한다.
욕망은 경쟁과 갈등이다. 인간은 타인의 욕망을 모방함으로써 경쟁과 갈등을 겪게 된다.
욕망은 희생이다. 인간의 욕망은 희생을 통해 해소될 수 있습니다.

두 이론은 모두 인간의 욕망이 타인을 통해 형성된다는 점을 강조하지만, 그 방식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다. 라깡의 이론은 욕망을 언어적인 차원에서 파악함으로써, 욕망의 본질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지라르의 이론은 욕망을 사회적인 차원에서 파악함으로써, 욕망이 인간의 사회생활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장점이 있다.

 

 

르네 지라르의 욕망삼각형은 인간의 욕망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 이론은 인간의 욕망이 타인을 통해 형성된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인간의 사회생활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