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삶에서 괴로움과 어려움은 피할 수 없는 현실이다. 이러한 시기를 잘 견뎌내고 더 나아가 성장의 기회로 삼기 위해서는 마음의 유연성이 필수적이다. 여러 철학과 심리학 이론들이 이러한 마음의 유연성의 중요성을 강조해왔다. 이 이론들을 소개하며 마음의 유연성을 조금이나마 키울 수 있기 바란다.
스토아 철학
에픽테토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등이 주창
우리가 통제할 수 없는 외부 상황보다는 우리의 인식과 반응에 집중할 것을 강조
"일어난 일 자체가 아니라, 그에 대한 우리의 판단이 우리를 괴롭힌다" - 에픽테토스
불교의 중도(中道)
극단을 피하고 균형 잡힌 시각을 유지하는 것의 중요성 강조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상황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는 태도를 권장한다.
실존주의 철학
장-폴 사르트르, 알베르 카뮈 등이 주창
불확실성과 부조리를 받아들이고, 그 속에서 의미를 창조하는 자세를 강조한다.
인지행동치료 (CBT)
아론 벡이 개발한 심리치료 접근법
부정적인 사고 패턴을 인식하고 변화시키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경직되고 비합리적이던 신념을 유연하게
바꿀 것을 목적으로 함.
상황에 대한 해석과 반응을 더 유연하게 만드는 기법 제공
수용전념치료 (ACT)
스티븐 헤이즈가 개발한 심리치료 접근법
불편한 감정이나 생각을 피하지 않고 수용하면서, 가치 있는 행동을 추구하는 것을 강조
마음챙김 명상 실천
현재 순간에 집중하며 판단 없이 관찰하는 습관 기르기
매일 5-10분씩 호흡에 집중하는 명상으로 시작해보기
인지적 재구조화
부정적인 생각을 인식하고 더 균형 잡힌 시각으로 바꾸는 연습하기
예: "이 상황은 끔찍하다"를 "이 상황은 어렵지만 극복할 수 있다"로 바꾸기
가치 중심적 행동
자신의 핵심 가치를 명확히 하고, 그에 따라 행동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자신의 가치에 부합하는 작은 행동 실천하기
감사한 내용을 실제로 써보기
매일 감사한 일을 직접 써보면 생각만 하는 것과는 다른 효과가 있다.
긍정적인 면에 초점을 맞추는 습관이 길러진다.
다양한 관점 탐색
한 상황에 대해 최소 3가지 다른 해석을 생각해보기.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상황을 바라보는 연습하기.
신체 활동
규칙적인 운동이나 요가 실천하기
신체의 유연성이 마음의 유연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사회적 연결 강화
지지적인 관계 유지하기
어려움을 겪을 때 도움을 요청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기
마음의 유연성은 우리가 인생의 어려움을 더 잘 헤쳐 나가고, 역경 속에서도 성장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능력이다. 다양한 철학과 심리학적 접근법들이 이러한 유연성의 중요성을 강조해왔으며, 우리는 일상적인 실천을 통해 이를 개발할 수 있다. 마음의 유연성을 기르는 것은 단기간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노력과 실천이 필요한 과정이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은 분명 우리의 괴로움을 덜어주고 이겨내고 그 기간을 짧게 해줄 것이다.
왜 긍정심리학을 공부해야 할까 (0) | 2024.07.16 |
---|---|
로버트 에먼스 - 감사의 힘 (0) | 2024.07.16 |
카를 로저스의 인간 중심 치료 (Person-centered Therapy) (0) | 2024.07.15 |
루시드 드림: 자각몽의 의미와 심리학적 의의 (0) | 2024.07.14 |
운과 긍정심리학 (2) | 2024.07.12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