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 프랑수아 리오타르는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언어학자로, 포스트모더니즘을 대표하는 인물 중 한 명이다. 그의 저서 《포스트모던적 조건》은 포스트모더니즘의 핵심 사상을 담고 있는 대표적인 저서로 평가받고 있다.
사실상 포스트모더니즘의 첫 사상가로 꼽히는 리오타르와 그의 책 포스트모던적 조건에 대해 알아본다.
포스트 모더니즘의 첫번째 특징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다양성'은 우리가 살아가면서 느끼는 우리의 각기 다른 미세한 이야기들을 중시하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주요 사상이다. 리오타르는 자신의 책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포스트모더니즘은, 우리가 더 이상 궁극적인 혹은 보편적인 근거, 즉 진리, 도덕, 예술, 정치, 과학에 의존할 수 없는 시대를 살고 있다는 인식이다."
리오타르는 포스트모더니즘이 등장하게 된 배경으로 다음과 같은 커다란 거대 담론들이 그 힘을 잃었다는 사실을 말한다.
계몽주의 - 인간 이성이 인류를 유토피아로 데려다 줄 것이라는 사상
정신현상학 - 역사가 절대정신의 발현으로 완성될 것이라는 헤겔의 철학
공산주의 - 필연적인 유물론의 역사법칙이 노동자를 해방할 것이라는 사상
실증주의 - 과학이 모든 것을 설명해준다는 주장
자본주의 - 시장경제를 통한 기술과 산업의 발전이 인류를 빈곤에서 벗어나게 해 줄것이라는 사상
과학의 발전과 합리주의의 위기
과학의 발전과 합리주의의 위기 속에서, 사람들은 더 이상 진리에 대한 절대적인 믿음을 가질 수 없게 되었다.
대중문화의 등장과 대중의 주체화
대중문화의 등장과 대중의 주체화 속에서, 사람들은 더 이상 기존의 가치관과 규범에 억압받지 않고, 자신만의 삶을 개척할 수 있게 되었다.
탈근대화와 세계화의 진전
탈근대화와 세계화의 진전 속에서, 사람들은 더 이상 단일한 가치관과 문화에 얽매이지 않고, 다양한 가치관과 문화를 수용하게 되었다.
리오타르는 이러한 변화 속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게 되었다고 주장한다.
다원주의와 상대주의: 포스트모더니즘은 절대적이고 보편적인 진리가 존재한다는 모던주의의 개념에 도전한다. 대신에, 진리나 가치는 사회적, 문화적, 개인적 상황에 따라 다양한 시각으로 이해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혼재와 분열: 이것은 다양한 이야기, 관점, 그리고 진보한 흐름이 병행하고 혼합되는 것을 의미한다. 문화적, 정치적, 사회적인 측면에서 다양한 의미체계가 공존하고 서로 혼재될 수 있다고 이야기한다.
진실성과 의미의 상대성: 포스트모더니즘은 진리나 의미가 주관적이며, 어떤 맥락에서의 상대적인 개념이라는 생각을 제시한다. 이는 현실의 해석은 사회, 문화, 개인적인 경험에 따라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언어와 의사소통의 중요성: 언어와 의사소통은 현대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언어적 표현과 상호작용이 현실을 구성하고 형성한다고 주장한다.
현대성과 전통에 대한 의심: 포스트모더니즘은 전통적인 개념과 현대적인 이슈들에 대한 의심을 제기한다. 세속적인 개념, 이념, 관습들을 비판하며, 이를 새롭게 형성하거나 해체하는 데 관심을 갖는다.
리오타르의 포스트모던적 조건은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또한, 포스트모더니즘의 다양한 특징을 논리적으로 설명함으로써, 포스트모더니즘을 하나의 철학 사상으로 정립하는 데 기여했다.
포스트모더니즘의 핵심 사상을 제시함으로써, 포스트모더니즘을 하나의 철학 사상으로 정립하는 데 기여했다.
포스트모더니즘의 다양한 특징을 논리적으로 설명함으로써,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
포스트모더니즘의 다양한 쟁점을 제기함으로써,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논의를 활성화하는 데 기여했다.
벤야민 vs 아도르노: 정치와 예술 (0) | 2023.12.15 |
---|---|
아도르노와 호르크하이머 - 계몽의 변증법 (0) | 2023.12.13 |
스토아 학파의 삶의 지혜 (0) | 2023.12.11 |
페미니즘 - 제 2의 성 (1) | 2023.12.10 |
타인은 지옥이다 - 사르트르의 주체성 (0) | 2023.12.10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