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뉴노멀의 철학

마음철학

by 라브뤼예르 2023. 7. 26. 23:32

본문

반응형

뉴노멀의 철학

코로나 이후의 사회와 생활 패턴이 변화함에 따라 '뉴노멀(New Normal)'이라는 용어가 자주 사용되었다. 사실 초반에는 자주 이 말을 썼으나 이제 코로나가 거의 끝나는 시점에서는 그 뉴노멀도 노멀이 되었기에 뉴노멀이 별로 들려오지 않는다. 뉴노멀은 새로운 정상이라는 의미로, 코로나 이전에 정상이라 여겨지던 것들과 결별하고 이제는 생소하거나 심지어는 예전에 비정상이라 여겨지던 것들도 정상이라고 볼 수 있는 상황이 되었다는 즉 새로운 현실에 대한 표현이다. 코로나로 디지털 시대가 무척 앞당겨진 것은 누구도 부인 못할 것이지만 오늘은 뉴노멀을 철학적으로 해석하는 시간을 가져본다.

 

마음철학
뉴노멀 시대

 

뉴노멀과 비슷한 철학 개념

신자유주의: 신자유주의는 개인의 자율성과 자유를 존중하며, 개인의 선택과 의지를 존중하는 개인주의적인 성향을 가진다. 이에 따라 개인의 자유로운 경제 활동과 경제 주체의 선택에 따라 시장이 조직되어야 한다고 믿는다. 경제적인 의미로 사용되는 이 철학은 우수한 자들이 살아남아 인류는 계속 사회적으로 진화 발전한다는 생각을 바탕에 깔고 있다.

포스트모더니즘 : 포스트모더니즘은 기존의 객관적 진리와 가치관을 부정하고, 상대주의와 다원주의를 강조하는 철학 사조이다. 코로나19로 인해 기존의 사회 구조와 가치관이 붕괴되고 새로운 질서가 형성되는 과정은 포스트모더니즘이 주장하는 것과 유사하다.

 

뉴노멀 세상의 특징

새로운 진리: 뉴노멀은 기존의 객관적 진리와 가치관을 부정하고, 새로운 진리와 가치관을 창조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다원주의: 뉴노멀은 다양한 가치관과 삶의 방식이 공존하는 사회를 의미한다.


탈중앙화: 뉴노멀은 권력과 자원을 특정 집단에 집중시키지 않고, 분산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변화와 적응의 필요성: 뉴노멀은 불확실성과 불안정성이 높은 새로운 상황에 맞추어 적응하고 변화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강조한다. 새로운 상황에 대응하면서 과거 정상으로 여겼던 방식과는 다른 방식으로 사고하고 행동해야 한다.

사회적 연대와 협력: 팬데믹으로 인한 위기 상황에서는 사회적 연대와 협력이 더욱 중요해진다. 모두가 함께 협력하여 새로운 상황을 극복하고 새로운 노력과 방식으로 사회를 운영하여 앞으로 비슷한 위기가 와도 헤쳐나갈 수 있어야 한다.

지속가능성과 재생: 뉴노멀은 지속가능성과 재생에 대한 관심을 높였다. 경제와 사회 시스템을 보다 지속 가능하고 재생 가능한 방향으로 전환하려는 의지와 노력이 필요하다.

공공의료와 보건 강화: 팬데믹으로 인한 교훈을 통해 공공의료와 보건체계의 중요성이 재각인 되었다. 이에 대한 투자와 강화가 필요하며, 개인과 사회의 건강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다.

디지털화와 혁신: 뉴노멀은 디지털화와 혁신의 가속화를 가져왔다. 비대면 서비스, 원격 근무, 온라인 교육 등이 더욱 보편화되고, 새로운 기술과 방식을 통해 사회가 운영되고 변화한다.

 

뉴노멀의 교훈

뉴노멀의 시대에는 많은 것들이 좀 더 빨리 흘러가고 변화하고 우리는 눈코 뜰 새 없이 변하는 사회와 트렌드에 발맞추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제일 먼저 어떤 커다란 변화가 오든 그것을 받아들이는 유연성과 적응력만이 우리를 이 희한한 세상에서 앞으로 나아가고 발전하게 해 줄 힘이 될 것이다. 언제나 에상치 못한 변화를 받아들일 준비를 하고 또 변화를 창조하고 이끌어가는 자세가 필요하다. 모든 것이 가능하다는 전방위적으로 오픈된 사고, 넓고 장기적인 시각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