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흔히 쓰는 말에 '기분탓이야'라는 말이 있다. 이것에 해당하는 효과가 있으니 많이 알려져 있는 가짜약 즉 위약효과라는 플라시보 효과이다. 약에 실제로 효과가 하나도 없는데 약에 효과가 있다고 믿는 상태에서 약을 먹은 사람들이 효과를 실제로 느끼는 것이다. 플라시보는 라틴어로 '너에게 기쁨을 주리라'라는 뜻이라 한다. 그런데 그 반대로 '너를 해하리라'라는 노시보라는 것도 있다. 즉 이것도 기분탓인 노시보 효과를 만드는데 내용은 아무런 해로운 성분이 없지만 그렇게 믿고 먹는 사람드이 실제 약의 부작용을 경험한다는 것이다. 참 재미있는 심리가 아닐 수 없다. 오늘은 이 두 효과에 대해 알아보자.
플라시보 효과(Placebo Effect)란 실제로 어떠한 특정한 효과를 가지지 않은 치료나 약물 등이 실제로 효과가 있다고 믿음으로써 환자의 상태를 개선시키는 현상을 말한다. 다시 말해, 환자의 기대와 믿음이 치료의 효과를 강화시키는 효과이다.
플라시보 효과는 의학 연구, 임상 시험, 심리치료, 사회과학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관찰되며 중요한 현상으로 인정된다. 이는 인간의 정신과 신체가 얼마나 강력한 심리적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플라시보 효과는 몇 가지 주요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기대와 믿음: 환자는 플라시보 치료나 약물에 대해 긍정적인 기대와 믿음을 가진다. 이러한 기대와 믿음은 신체 및 정신적인 반응을 유발하고 치료 효과를 경험하게 한다.
심리적 요인: 플라시보 효과는 주로 심리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의사나 치료자의 전문성과 신뢰, 치료 환경의 안정성과 편안함, 약물의 외형과 이름 등이 플라시보 효과를 강화시킬 수 있다.
생리적 변화: 플라시보 효과는 생리적인 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 환자의 뇌에서는 신체의 자연적인 치유 과정을 촉진하거나 통증 감소, 면역 기능 강화 등의 생리적인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
개인 차이: 사람마다 플라시보 효과에 대한 감수성이 다를 수 있다. 개인의 신념, 성격, 기대 수준 등은 플라시보 효과의 강도와 영향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플라시보 효과는 의료 분야에서 임상 시험에서 약물의 실제 효과와 플라시보 효과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중 맹검법(double-blind study) 등에 사용된다.
노시보 효과(Nocebo Effect)는 의사소통, 신념, 기대 등의 요소에 의해 발생하는 음의 플라시보 효과 (역플라시보)를 의미한다. 플라시보 효과와는 반대로, 실제로는 어떠한 부정적인 효과가 없는데도 불구하고, 환자가 부정적인 결과를 경험하거나 신체적 또는 정신적인 증상을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
노시보 효과는 주로 의사소통과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의사나 의료 전문가가 환자에게 부정적인 정보를 전달하거나 부정적인 기대를 설정할 때, 환자의 마음과 신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노시보 효과는 신약의 부작용을 경험하는 환자, 의사의 예측에 따라 통증이나 불쾌한 증상이 나타나는 환자, 의료 검사 결과에 대한 부정적인 기대로 인해 건강 상태가 악화되는 환자 등에서 관찰될 수 있다.
노시보 효과는 주로 다음과 같은 요소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의사소통: 의료 전문가의 말투, 언어, 비언어적인 신호 등이 환자의 신념과 기대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부정적인 정보가 제공되거나 과도한 강조가 있을 경우, 환자는 부정적인 결과를 기대하게 되어 그 결과를 실제로 경험할 수 있다.
부정적 신념과 기대: 환자의 신념과 기대는 노시보 효과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환자가 자신의 병을 심각하게 인식하거나 약물의 부작용을 예상한다면, 실제로는 어떠한 부정적인 영향도 없더라도 그러한 결과를 경험할 수 있다.
과거 경험과 문화적 영향: 과거에 부정적인 경험을 한 환자나 특정 문화나 사회적 배경을 가진 환자는 노시보 효과에 민감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질병이 해당 문화에서 흔하게 발생하는 질병이라고 여겨진다면, 그 질병에 대한 부정적인 기대로 인해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
코로나 시대도 이제 갔지만 한 때 코로나 백신의 부작용에 이런 노시보 효과가 있지 않냐는 논란도 있었다. 여하간 확실히 개인 심리나 자기 믿음, 암시 그런 것들은 엄청난 위력이 있음은 이 두 효과만 보아도 두말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의식의 흐름 (5) | 2023.06.14 |
---|---|
윌리엄 제임스 - 심리학의 아버지 (5) | 2023.06.14 |
범죄심리학 - 깨진 유리창 이론 (2) | 2023.06.13 |
마들렌 효과 - 사회심리학 (3) | 2023.06.13 |
로미오와 줄리엣 효과 - 사회심리학 (3) | 2023.06.13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