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종종 텍스트에만 집중하고 텍스트를 둘러싼 컨텍스트(맥락)는 간과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사건이나 정보의 완전한 이해를 위해서는 컨텍스트가 정말 중요다. 여기서 '텍스트'는 보이는 것, 표면적인 것을 의미하고, '컨텍스트'는 그것을 둘러싼 상황, 배경, 의미를 말한다.
인생에서도 이는 마찬가지이다. 우리는 때때로 특정한 사건이나 선택을 따로 떼어서 생각하고 판단할 때가 있다. 하지만 그것이 우리의 삶에서의 모든 컨텍스트를 고려하지 않는다면, 때로는 힘들고 혼란스러운 결정을 내리거나 사건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오늘은 우리가 인생에서 컨텍스트를 중시해야하는 이유를 알아보고 컨텍스트 철학을 배워본다.
우리가 인생을 살아가면서 맥락을 고려하지 않고 눈에 보이는 텍스트만 따지면, 우리는 다음과 같은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1. 오해를 할 수 있다
맥락을 고려하지 않고 정보의 텍스트만을 따지면, 정보의 진정한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고 오해할 수 있다. 흔히 이차원적 사고를 하는 사람은 보이는 것 듣는 것만 중시하고 그 배경과 상황, 흐름을 따지 않으니 텍스트만 가지고 당장의 시츄에이션을 이해하려든다. 그러다보면 많은 것들에 대해 단편적인 지식만을 얻어 응용이 안되거나 심한 경우엔 잘못 이해하여 비슷하 상황들을 대처하는데 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2. 잘못된 결정을 할 수 있다
정보의 맥락을 고려하지 않고 의사결정을 하면, 잘못된 결정을 내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번 주식이 오를 것 같다."라는 말을 들었을 때, 그 주식의 전망, 시장 상황 등 맥락을 고려하지 않고 투자를 결정하면, 당연히 손해를 볼 수 있다. 이런 뻔한 한 예를 들었지만 살면서 우리가 추상적인 것들을 만나고 겪으며 그것들을 통해 앞으로 나아가는 결정을 하게 되는 시간들이 많다. 추상적인 것들이 실질적인 결과를 가져오는 경우들에 있어 우리의 결정을 좌우하는 것이 텍스트인지 컨텍스트인지 우리는 꼭 한번쯤 숙고해 보아야 한다.
3. 인간관계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사람과의 관계에서도 맥락을 고려하는 것은 중요하다. 맥락을 고려하지 않고 상대방의 말이나 행동을 단순히 해석하면, 상대방의 진심을 이해하지 못하고 관계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것은 어찌보면 당연한 것인데 살다보면 우리는 이걸 잊는다. 사랑도 우정도 그리고 이해관계도 모두 상황을 먼저 이해해야 하는데 당장의 보이는 것과 느껴지는 것이 진리인양 쉽게 기뻐하고 슬퍼하고 답답해하고 아파하거나 화를 낸다. 맥락이란 시간과도 비슷한 의미이다. 텍스트로 인해 아플때는 시간을 가져보자.컨텍스트가 보일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인생을 살아가면서 맥락을 고려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중요하다. 삶의 텍스트만을 따지기보다는, 텍스트가 생성되고 전달되는 맥락을 고려하여 삶의 컨텍스트를 이해하고 느끼고 결정을 하는 것이 습관화되어야 한다.
맥락을 고려하는 습관을 기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노력을 할 수 있겠다.
1. 맥락을 파악하는 연습을 한다.
어떤 상황을 접할 때, 그 상태가 생성되고 전달되는 맥락을 생각해 본다. 어떤 목적으로 어떤 이유로 그 상태가 만들어졌는지, 어떤 것을 대상으로 하는지, 어떤 배경에서 전달되는지 등을 생각해 보는 것이다.
2. 다양한 관점에서 상황을 바라다.
한 가지 관점에서만 바라보지 말고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본다.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모아니면 도 혹은 극단적인 사고는 무조건 피해야 한다. 세상에는 항상 중간이 있다는 것을 생각한다. 다양한 관점에서 사태르 바라보고 싫고 좋은 것만 있는게 아니라 그 사이에 무수한 많은 느낌이 있다는 것을 기억하자.
무언가 삶의 결정들을 내릴 때, 컨텍스트!
맥락을 고려하는 습관을 기르면, 우리는 많은 정보와 상황들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고, 올바른 결정을 내릴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정말 중요한 인간관계에 있어서도 상대방의 진심을 이해하고, 건강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페미니즘 - 제 2의 성 (1) | 2023.12.10 |
---|---|
타인은 지옥이다 - 사르트르의 주체성 (0) | 2023.12.10 |
존재와 무 (1) | 2023.11.28 |
개운법 - 대운이 오는 징조 (0) | 2023.11.26 |
만트라와 긍정 (1) | 2023.11.25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