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인지부조화 이론과 CBT 치료

마음심리학

by 라브뤼예르 2024. 7. 10. 19:26

본문

인지부조화 이론과 CBT 치료

 

 

마음 수양의 101은 자신을 들여다보는 것, 자신의 행동과 자신의 사고가 일치하는지 일치하지 않는지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어떻게 바꿔야하는지는 너무나도 중요하고 기본적인 것이다. 오늘은 두가지의 심리학적 개념을 배워보자.

인지부조화이론과 인지행동치료(CBT)는 둘 다 인지와 행동에 관련된 심리학 이론이지만, 그 초점과 적용 방식에서 차이가 있다. 이 두 개념의 관계를 살펴보겠다.

 

마음심리학
이미지 = 픽사베이

 

인지부조화이론

 

정의: 개인의 믿음, 태도, 행동 사이에 불일치가 있을 때 발생하는 심리적 불편함을 설명하는 이론

예: 흡연이 건강에 해롭다는 것을 알면서도 계속 흡연하는 경우

 

 

인지행동치료(CBT)

 

 

정의: 부적응적인 사고와 행동을 식별하고 수정하여 정신건강 문제를 해결하는 심리치료 접근법

목표: 왜곡된 사고패턴을 변화시켜 감정과 행동을 개선하는 것

 

 

두 개념의 관계

 

 

a) 공통점

인지의 중요성: 둘 다 인간의 사고방식이 감정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한다.

변화의 가능성: 사고와 행동의 변화를 통해 심리적 상태를 개선할 수 있다고 본다.

 

b) CBT에서의 인지부조화 활용

인지부조화 인식: CBT는 내담자가 자신의 인지부조화를 인식하도록 돕는다.

변화 동기 부여: 인지부조화로 인한 불편함은 변화의 동기가 될 수 있다.

사고 재구성: CBT는 인지부조화를 해소하기 위해 사고를 재구성하는 기술을 가르친다.

 

c) 치료적 접근

CBT는 인지부조화를 치료의 기회로 활용한다. 불일치하는 생각들을 찾아내고, 이를 더 적응적인 사고로 바꾸는 과정을 통해 심리적 문제를 해결한다.

 

d) 실제 적용 예

우울증 환자가 "나는 가치 없는 사람이다"라고 생각하면서도 동시에 성공적인 직장생활을 하고 있다면, 이는 행동과 사고가 다른 인지부조화다. CBT는 이런 부조화를 지적하고, 환자의 실제 성과와 일치하는 더 현실적인 자기 인식을 발달시키도록 돕는다.

 

요약하자면, 인지부조화이론은 CBT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활용된다. CBT는 인지부조화를 인식하고 해소하는 과정을 통해 내담자의 심리적 웰빙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준다. 두 개념은 서로 보완적인 관계에 있으며, 함께 사용될 때 더 효과적인 심리치료가 가능해진다.

 

'마음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과 긍정심리학  (2) 2024.07.12
쿠르트 레빈의 변화 이론  (0) 2024.07.11
엔돌핀과 행복의 관계  (1) 2024.07.10
행복의 비밀 - 전전두엽과 부교감신경  (0) 2024.07.10
아침 불안 극복하기  (0) 2024.07.10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