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리 베르그송(Henri Bergson)의 "웃음(Laughter: An Essay on the Meaning of the Comic)"은 1900년에 발표된 책으로, 웃음이나 유머에 대한 철학적 고찰을 담고 있다. 이 책에서 베르그송은 웃음이 어떻게 발생하며, 그것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에 대해 탐구한다.
철학자 하면 심각하고 진지한 느낌이 먼저 드는게 당연지사 오늘은 조금 엉뚱하게 '웃음'이란 책을 발행한 베르그송의 이 책에 대한 내용을 들여다 본다.
기계적 움직임과 유머: 베르그송은 웃음이 기계적이고 반복적인 움직임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사람들이 기계적이고 반복적인 행동을 따라하거나 모방할 때, 그것이 웃음을 일으키는 요소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타자나 인간 특유의 불편한 움직임: 불편한 움직임, 특히 다른 사람이나 사물이 예상치 못한 방식으로 움직일 때 웃음이 발생한다고 주장했다.
자유와 강압에서 비롯된 유머: 베르그송은 웃음이 자유와 강압 사이에서 발생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유머는 자유의 표현이며, 어떤 형태의 강압이나 강요에서 벗어나는 순간에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웃음의 정체성 파괴와 시간의 연속성: 웃음은 어떤 상황에서 개인의 정체성이 파괴되거나, 예상과 다른 일이 벌어질 때 발생하며, 이는 시간의 연속성을 통한 예상과의 불일치에서 비롯된다고 제안했다.
웃음의 불일치: 베르그송은 웃음이 예측의 불일치에서 비롯된다고 봤다. 예상과 다르게 일어나는 일이 우리에게 웃음을 일으킨다고 주장했다.
생동감과 웃음: 생동감이 높은 순간에서 웃음이 더 자주 발생한다고 주장했다. 예측할 수 없는 상황에서의 경험이 웃음을 촉발하는 중요한 요소라고 설명했다.
정체성의 상실은 생명력이 부족한 것으로, 웃음을 유발한다. 예를 들어, 자신의 감정이나 행동을 통제하지 못하는 것은 웃음을 유발한다. 도덕적 결함은 생명력이 부족한 것으로, 웃음을 유발한다. 예를 들어, 이기적이거나, 무례한 행동은 웃음을 유한다.
베르그송은 웃음이 단순한 감정이 아니라, 사회를 규범화하고, 사회의 질서를 유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즉, 웃음은 사회가 바람직하지 않게 여기는 행동을 지적하고, 비판하는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웃음은 웃음에 대한 현대적 이해에 큰 영향을 미친 작품으로, 다음과 같은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웃음의 본질과 기능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
웃음이 사회를 규범화하고, 사회의 질서를 유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밝힘
현대 사회에서 웃음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 기여
"웃음"에서 베르그송은 유머와 웃음이 어떻게 발생하고, 그것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에 대한 철학적 고찰을 제시한다. 웃음은 예측의 불일치와 자유의 표현, 강압에서 벗어나는 순간 등 다양한 상황에서 비롯되며, 이를 통해 우리는 인간 특유의 정체성과 시간의 연속성에 대한 깊은 이해를 얻을 수 있다.
시니피앙과 시니피에 (0) | 2024.02.01 |
---|---|
불안은 어디서 오는가 (0) | 2024.02.01 |
베르그송과 시간 (0) | 2024.02.01 |
긍정 철학의 대가 니체: 생성과 창조의 의미 (0) | 2024.02.01 |
니체, 망치를 든 철학자 (0) | 2024.02.01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