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마키아벨리와 현실주의

마음철학

by 라브뤼예르 2023. 10. 8. 22:32

본문

반응형

마키아벨리와 현실주의 - 악마적인 오해를 벗어나며

요즘 우리나라의 정치는 도대체 무엇을 향해 가는 것인지 혼란할 따름이다. 작금은 진보와 보수 진영 논리를 떠나 어떤 '나아감'이 필요한 때가 아닌가 싶다. 마키아벨리즘은 언제나 정치가 도돌이표를 찍고 있을 때 생각해보게 되는 실천적 철학이다.

그런데 마키아벨리가 악명높은 정치가와 전략가로 알려져 있다. 그의 작품 "군주론"은 권력의 취득과 유지에 대한 냉정한 조언으로 유명하며, 이로 인해 "마키아벨리적"이라는 용어는 악마적이고 무정한 정치를 의미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마키아벨리의 철학을 이해할 때, 악마적인 오해를 피하고 현실주의적 시각을 고려해보아야 한다. 오늘은 마키아벨리즘이 주는 현실적 실행의 조언을 생각하며 그것의 악마적 오해를 벗기고 그 긍정적 측면을 보는 방법을 생각해보고자 한다.

 

마음철학
마키아벨리의 원칙

 

마키아벨리은 누구인가

마키아벨리는 15세기 (1469~1527) 이탈리아의 정치가 철학자, 외교관, 사상가로 피렌체 공화국의 제 2장관직에 임명되었으나 메디치가문이 집권하자 추방당할 것이 두려워 정치 권력자들의 진정한 교본인 <군주론>을 집필했다. 마키아벨리는 현실 정치의 세계를 냉혹하고 무자비한 곳으로 보았고, 통치자가 자신의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때로는 비도덕적이고 비윤리적인 수단도 사용할  있다고 주장했다. <군주론>은 근대 정치사상의 출발점으로 평가받는다.

 

마키아벨리즘이란

마키아벨리즘(Machiavellianism) 이탈리아의 정치 철학자 니콜로 마키아벨리(Niccolò Machiavelli) 이름에서 유래한 용어로, 권력, 정치, 리더십에 관한 냉철하고 무정한 접근을 나타낸다. 용어는 주로 정치와 사회적 상황에서 개인 또는 집단의 이익을 추구하는 어떠한 수단도 채택할 있다는 입장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된다.

마키아벨리즘 특성

1. 목적 중립성

마키아벨리는 군주론에서 정치적 행위가 목적 중립적이라고 주장했다. 즉, 정치적인 목표는 그 자체로 도덕적이나 부도덕적이지 않다. 그가 강조한 것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수단과 전략의 중요성이다. 이는 현실주의의 핵심 원리 중 하나로, 정치적인 결정은 주어진 상황과 목표에 따라 다르게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2. 현실주의와 현실적 사고

마키아벨리는 현실주의의 선구자 중 하나로 간주된다. 그는 정치적인 결정은 이상적인 도덕적 원리보다는 현실과 상황에 기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가 말하는 현실주의는 세계가 복잡하고 불확실하며, 이상적인 도덕적 원리만으로는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취한다. 

 

3. 권력의 필요성

마키아벨리는 권력을 획득하고 유지하는 것이 정치적 생존에 필수적이라고 보았다. 그는 권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권력을 통해 국가를 안정시키고 보호하는 것이 군주나 정치 지도자의 주된 임무임을 주장했다. 이는 현실주의적 입장에서 정치적 리더십의 본질적인 특성을 강조하는 것이다.

 

결론

마키아벨리의 작품과 철학을 이해할 , 그의 목표는 악마적인 행위를 옹호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주의적이고 현실적인 사고를 장려하는 것이었다. 그는 정치적 결정이 상황과 목적에 따라 달라져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권력과 정치적 생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따라서 그의 철학은 악마적이라기보다는 현실주의적이며 현실적인 시각을 존중하고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