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프란시스 베이컨의 극장의 우상

마음철학

by 라브뤼예르 2024. 7. 14. 11:50

본문

반응형

프란시스 베이컨의 극장의 우상: 현대 미디어 시대의 경계령


프란시스 베이컨(1561-1626)은 근대 과학 혁명의 선구자로 알려진 영국의 철학자다. 그의 '우상론'은 인간의 올바른 인식을 방해하는 네 가지 편견을 지적하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극장의 우상(Idols of the Theatre)'이다. 이 극장의 우상은 우리가 유튜브 시대를 살면서 주의해야할 것을 지적하고 있기에 꼭 짚고 넘어가야 한다.

 

마음철학
이미지 = 픽사베이


극장의 우상이란 무엇인가?

 

극장의 우상은 기존의 철학 체계나 권위 있는 학설, 전통적인 관념 등에 의해 발생하는 편견을 의미한다. 베이컨은 이를 '극장'에 비유했는데, 마치 극장에서 관객들이 무대 위의 연극을 현실로 착각하듯이, 우리도 이러한 기존의 관념들을 맹목적으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다고 보았다.

크게 세 가지 특징은 다음과 같다.

권위에 대한 맹신: 극장의 우상은 주로 전통적 학문과 권위 있는 이론에 대한 무비판적인 수용에서 비롯된다. 사람들이 권위 있는 인물이나 고전적 이론을 신봉하게 되면, 그 이론이 가진 오류나 한계를 인식하지 못하게 된다.
비판적 사고의 결여: 극장의 우상은 비판적 사고를 억제한다. 사람들은 기존의 이론이나 철학을 의심하지 않고 그대로 받아들이기 때문에, 새로운 발견이나 혁신적인 사고가 저해된다.
집단적 오류: 극장의 우상은 개인뿐만 아니라 집단적으로도 영향을 미친다. 특정 학문적 전통이나 철학이 사회 전반에 널리 퍼져 있으면, 많은 사람들이 그 이론을 따르게 되어 집단적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현대 미디어와 극장의 우상


베이컨의 이 개념은 오늘날 미디어, 특히 유튜브와 같은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 놀랍도록 적용된다.


정보의 편향성: 알고리즘에 의해 우리의 기존 관점을 강화하는 정보만 접하게 될 위험
인플루언서의 영향: 유명인이나 인플루언서의 의견을 맹목적으로 수용하는 경향
가짜뉴스와 허위정보: 검증되지 않은 정보가 빠르게 확산되는 현상
에코 챔버 효과: 같은 생각을 가진 사람들끼리만 소통하며 편견이 강화되는 현상
선정주의와 극단주의: 주목을 끌기 위해 극단적이거나 선정적인 콘텐츠가 생산되는 현상


우리가 인식해야 하는 것들


비판적 사고 기르기
모든 정보를 의심하고 검증하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출처를 확인하고, 다양한 관점을 찾아보라.
미디어 리터러시 향상
미디어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어떻게 우리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다양성 추구
의도적으로 다양한 관점의 정보를 접한다. 자신의 견해와 다른 의견도 열린 마음으로 들어본다.
깊이 있는 학습
표면적인 정보에 만족하지 말고, 주제에 대해 깊이 있게 학습한다.
휴식과 성찰
때로는 미디어로부터 벗어나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는 시간을 가진다.
실제 경험 중시
온라인 정보에만 의존하지 말고, 실제 경험과 대화를 통해 세상을 이해하려 노력한다.
알고리즘 이해하기
플랫폼의 알고리즘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이해하고, 의도적으로 다양한 콘텐츠를 찾아본다.
정보의 맥락 파악
단편적인 정보가 아닌 전체적인 맥락 속에서 정보를 이해하려 노력한다.


프란시스 베이컨의 '극장의 우상' 개념은 수세기가 지난 지금도 여전히 유효하며, 오히려 현대 미디어 환경에서 더욱 중요해졌다. 우리는 끊임없이 쏟아지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비판적 사고와 주체적인 판단력을 잃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미디어와 기술은 우리에게 무한한 정보와 기회를 제공하지만, 동시에 새로운 형태의 '극장의 우상'을 만들어내고 있다. 우리는 이를 인식하고, 능동적이고 비판적인 미디어 소비자가 되어야 한다. 그래야만 진정한 지식과 지혜를 얻을 수 있고, 베이컨이 꿈꾸었던 편견 없는 순수한 인식에 한 걸음 더 가까워질 수 있을 것이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