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존재론과 인식론 - 철학 사상의 두 산맥

카테고리 없음

by 라브뤼예르 2023. 7. 29. 23:28

본문

반응형

존재론과 인식론 - 철학 사상의 두 산맥

 

데카르트의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는 이 유명한 명제는 존재론과 인식론 중 무엇에 해당할까? 생각을 하니까 존재가 있는것이라면 생각이 먼저이니 생각을 강조한 것일테고 따라서 인식론이 좀 더 강조된 게 아닌가하는 생각이 든다. 인식론이나 존재론은 각기 철학 사상의 부류이지 하나만 존재해야한다거나 무엇이 더 중요하다는 논리는 아니다.  그러나 근세철학의 문을 연 데카르트의 저 발언은 분명 인식론에 더 방점이 찍혀있으므로 근세 이후 철학에서는 인식론이 주를 이루었지 않았을까 생각해볼 수 있다. 철학 사상은 커다랗게 볼 때 존재론과 인식론, 윤리론으로 나눌 수가 있는데 오늘은 서양철학의 시대적 흐름을 통해 양대산맥인 인식론과 존재론에 대해서만 간략히 알아보자.

 

마음철학
철학

 

존재론

철학의 존재론은 "존재"의 본질과 특성에 관한 연구이다. 존재론은 우주의 기원과 목적, 신과 영혼의 존재 여부, 시간과 공간의 본질, 자유의지와 필연성, 개체와 실재의 관계, 유일성과 다양성, 그리고 진리와 실재의 관계와 같은 근본적인 문제를 다룬다.

존재론은 철학의 가장 오래된 분야 중 하나이며,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들부터 연구해온 주제이다. 존재론의 주요 철학자들은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데카르트, 스피노자, 라이프니츠, 칸트, 헤겔, 니체, 사르트르, 하이데거 등이다.

존재론은 인간의 삶과 세계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존재론은 인간의 존재의 의미와 가치에 대한 질문에 답변을 제시하고, 인간이 어떻게 세상과 소통해야 하는지 알려준다.

 

인식론

인식론은 지식의 본질, 한계, 기원, 구조, 기능, 발달, 그리고 인식과 관련된 다른 문제들에 대한 연구를 포함하는 철학의 한 분야이다. 인식론은 지각, 인지, 신념, 추론, 의사 결정, 문제 해결, 언어, 기억, 학습, 사고, 의식, 그리고 정신 상태와 같은 개념을 다룬다.

인식론은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들부터 연구해온 주제이지만, 17세기의 데카르트, 로크, 흄의 연구로 인해 현대적인 인식론이 형성되었다. 데카르트는 의식의 확실성을 강조하며 합리론을 주장했고, 로크는 지식의 기원을 경험으로 보았다. 흄은 인과관계의 개념에 의문을 제기했다.

현대 인식론은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되고 있다. 심리학자들은 인식의 생물학적 기원을 연구하고, 인지과학자들은 인식의 컴퓨터 모델을 연구하고, 인공지능 연구자들은 인식의 기계적 재현을 연구하고 있다.

인식론은 인간의 사고와 행동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인식론의 연구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교육을 개선하고, 정신 질환을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존재론과 인식론의 통사론적 고찰

고대: 존재론은 뭐니뭐니해도 철학의 바탕이다. 우리 인간과 만물 존재에 대해 고민하는 것이 철학 아닌가. 이러한 존재론은 고대 그리스에서부터 존재와 본질에 관한 관심으로 시작했다. 철학의 문을 연것은 완전한 존재에 대한 물음이었다. 

 

중세: 중세 시대는 기독교가 유럽을 중심으로 지배적인 종교적 영향력을 갖고 있었고, 이 기간 동안 신과 인간의 관계는 중요한 주제였다. 따라서 신의 존재에 대한 물음, 즉 존재론이 신의 영역으로 넓혀지면 철학을 지배했다.

 

근세: 위애서도 이야기했듯 근세 철학의 문을 연 데카르트는 자신의 말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라는 말로 존재론보다는 인식론에 집중하겠다는 권고를 한다. 인식론은 합리론과 경험론이라는 지류를 낳아 근세에 활발하게 논의된다.

 

현대: 현대에는 존재론과 인식론이 딱히 구분없이 함께 공존하는 철학의 경향이 지속되고 있다.

 

 

 

 

반응형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