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칼 융의 성격유형 - 엠비티아이의 원조

마음심리학

by 라브뤼예르 2023. 7. 15. 19:14

본문

반응형

칼 융의 성격유형 - 엠비티아이의 원조

한 오년 전부터 유행하기 시작한 엠비티아이는 잠깐 유행하고 말지 알았지만 한국의 MZ세대의 특성상 마치 혈액형처럼 기본으로 자신의 엠비티아이를 알고 평생 가져가는 것으로 고착된 듯하다. 뭔가 복잡해보이지만 조금만 관심가지고 테스트 해본 후 알아놓으면 재밌기도 하고 사람들과 대인관계에 적용해보면서 이런저런 아이디어도 나올 수 있는 것 같다. 그런데 이 엠비티아이를 알려면 여덟개의 알파벳을 알아야 한다. 물론 이니셜이지만 이 여덟개 알파벳으로 시작하는 각 단어들은심리학자이며 정신분석학자인 칼 융이 성격 유형을 분리 개발하여 이미 설명했던 것이다. 따라서 엠비티아이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 엔비티아이의 원조인 융의 성격 유형에 대해 알고 지나가기로 한다.

 

마음심리학
MBTI

 

칼 융의 8가지 성격

칼 융은 다음 6가지를 조합하여 8가지 성격을 구분했다.

 

6가지 특성 
외향형(E) : 외부 세계에 에너지를 발산하고, 사람들과 어울리며, 활동적인 것을 좋아한다.
내향형 (I) : 내부 세계에 에너지를 집중하고, 혼자서 시간을 보내고, 사색하는 것을 좋아한다.
사고형 (T) :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것을 좋아하고, 문제 해결에 집중한다.
감정형 (F) : 공감적이고 이해심이 많고, 관계를 중요하게 생각한다.

감각형 (S) : 현실에 기반을 두고,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것을 좋아한다다.
직관형 (N) : 추상적이고 창의적인 것을 좋아하고, 가능성을 추구한다.

이 여섯가지 특성에서 외향형과 내향형을 나머지 네 가지 특성에 각각 붙여 여덟개를 만들었다.

 

8가지 성격 유형

외향적인 사고형 (Extraverted Thinking Type)
: 현실적이고 사실 중심적인 사고를 가지며 조직적이고 결단력이 있다.

외향적인 감정형 (Extraverted Feeling Type)

: 타인에게 관심을 가지며 다른 사람들과 원활한 대인관계를 형성하는 데 능숙하다.

외향적인 감각형 (Extraverted Sensing Type)
: 현실적이며 경험을 통해 빠르게 대처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외향적인 직관형 (Extraverted Intuition Type)
: 새로운 아이디어와 가능성에 관심을 가지며 창의적이고 통찰력이 뛰어나다.

내향적인 사고형 (Introverted Thinking Type)
: 내면으로 집중하여 현실에 대해 분석적이고 체계적인 사고를 가지며 신뢰할 만한 사람이다.

내향적인 감정형 (Introverted Feeling Type)
: 내면에 있는 가치와 감정에 대한 인식이 뛰어나며 타인을 돌보고 지원하는 능력이 있다.
내향적인 감각형 (Introverted Sensing Type)
: 현실적이며 실제 상황에 민감하고 탐구적인 성향을 가지며 도구와 기술에 능숙하다.
내향적인 직관형 (Introverted Intuition Type)

: 독립적인 사고를 가지며 추상적인 개념에 관심이 많으며 이론적이고 분석적인 능력이 있다.

엠비티아이 (MBTI)

엠비티아이는 마이어스-브릭스 유형 지표(Myers-Briggs Type Indicator, MBTI)의 줄임말이다. 작가 캐서린 쿡 브릭스(Briggs)와 그녀의 딸 이자벨 브릭스 마이어스(Myers)가 칼 융의 초기 분석심리학 모델을 바탕으로 1944년에 개발한 자기보고형 성격 유형 검사이다. 그리고 이 지표는 사람의 성격을 16가지의 유형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바로 이 엠비티아이가 오늘날 우리가 혈액형보다도 더 신봉하게 된 그것인데 칼 융의 여섯가지 특성에 다음 두 가지를 더해 조합하여 16가지의 유형을 만든 것이다.

 

판단형 (J) : 계획적이고 체계적이고, 일을 완벽하게 마무리하는 것을 좋아한다.
인식형 (P) : 유연하고 적응력이 좋고, 새로운 경험을 추구한다.


============================================================================================

 

엠비티아이는 너무 신봉하고 집중할 필요는 없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어떤 특성이든 지니고 있고 상반되는 특성은 거의 중간 정도로 지니고 있기에 내가 이거다라고 완벽하게 말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오늘날의 성격유형이라는 것도 심리학자의 모델에서 발전한 것이라니 사람들을 만나면서 성격도 관찰하고 심리도 관찰하며 인간관계를 더 재미있고 발전적으로 가져가는 것은 바람직한 일일 것이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